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뛰자! 한국기업]퀀텀 점프… 불황 넘어 다시 뛰는 한국 기업

입력 | 2014-04-01 03:00:00

세계 500대 기업에 한국 14개, 美中日英佛獨 이어 7번째로 많아
폐허에서 이룬 한강의 기적… 우리 기업들 새 성장동력 만들어




Gettyimages 멀티비츠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64K D램 반도체 개발에 성공한 것은 1983년이다. 이미 일본 미국 등 선발주자들에 비해 20여 년이나 늦은 출발이었다. 기술도 판로도 없던 한국이었지만 첨단산업만이 살길이라고 생각해 감행한 투자였다. 처음 반도체가 생산된 후 30년이 지난 2013년 한국은 영원히 따라잡을 수 없을 것만 같았던 일본을 넘어섰다. 한국은 지난해 반도체 세계시장 점유율 16.2%로 미국(52.4%)에 이어 2위였다. 메모리 분야에선 시장점유율 52.4%로 2위인 미국(27.1%)을 멀찌감치 따돌렸다.

현대자동차는 1974년 자체 기술로 ‘포니’를 만들었다. 3년 뒤엔 1977년 남미의 에콰도르로 수출된 포니 6대는 한국의 첫 자동차 수출이었다. 그 뒤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한 한국 자동차 산업은 이제 생산량으로 세계 5위에 올라있다.

○ 한국 경제 운명 가를 한 해


‘하면 된다’로 무장한 기업가 정신과 한국 기업의 혁신을 위한 노력은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한국 경제 발전을 선도한 원동력이었다.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 기업은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매출액을 기준으로 한 포천의 글로벌 500대 기업 안에 한국 기업은 14개나 이름을 올렸다. 미국 중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에 이어 일곱 번째로 많다. 우리보다 인구나 경제규모가 큰 인도, 브라질, 러시아보다 앞선 순위다.

하지만 최근 한국 경제와 기업은 대내외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

1980년대 연평균 8.6%에 달했던 경제성장률은 2000년대 들어 4.4%를 기록하며 절반 수준으로 추락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 잠재력이 크게 약화되면서 최근에는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저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핵심생산인구(25∼49세)는 2008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도 한국 경제를 압박하는 요인이다.

대외적인 요인도 한국 경제를 휘청거리게 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일본의 아베노믹스에서 시작된 엔화 약세 현상으로 일본과 경합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은 타격을 받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원-엔 환율이 10% 하락하면 국내 전체 수출액이 최대 6%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해외 시장에서 도요타 닛산 혼다 등 일본 자동차업체들과 직접 경쟁하고 있는 자동차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전기전자 석유화학 조선업계 등 다른 주요 수출기업들도 엔화 약세 쇼크의 영향권에 들어 있다.

중국의 추격 역시 더욱 거세지고 있다. 스마트폰 가전제품 조선 철강 등 주요 수출 산업에서 중국 기업의 추격은 무서울 정도다. 중국과 기술 격차 역시 점점 좁혀지고 있다. 최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내놓은 주요국별 산업기술수준 조사결과에 따르면 세계 최고수준 기술 보유국인 미국을 100이라고 했을 때 지난해 전체 기술 분야 평균 기술수준은 한국이 83.9, 중국이 71.4로 12.5포인트 차다. 2011년 같은 조사에서 양국 간 격차가 13.3포인트였던 것이 0.8포인트 좁혀진 것이다.

올 한 해가 한국 경제가 저성장의 늪에 빠지느냐, ‘퀀텀 점프’(대도약)를 하느냐를 가를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통해 신성장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과감한 규제개혁을 통해 기업의 투자와 고용을 촉진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 한국 기업, 경제 혁신 이끈다


기업들도 재도약을 위해 기업의 체질을 바꾸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이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투자를 늘려나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조사한 결과 올해 투자 규모는 지난해보다 6.1% 증가한 133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올해 투자를 확대하려는 이유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선행투자’와 ‘신제품 생산 및 기술개발 강화’ ‘신성장 산업 등 신규사업 진출’ 등을 꼽았다.

삼성그룹은 올해 12년 만에 ‘마하경영’을 다시 꺼내들었다. 대내외적 위기상황에 맞서 근본적인 체질과 구조를 업그레이드하겠다는 뜻이다. ‘마하경영’은 이건희 회장이 2002년 4월 “제트기가 음속의 2배로 날려면 엔진의 힘만 2배로 늘려서 되는 게 아니라 재료공학부터 기초물리, 모든 재질과 소재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한 것에서 유래한 말이다.

현대자동차는 미래성장 기반 강화를 목표로 차량의 연료소비효율과 안전 성능을 강화하고 친환경차와 스마트카 같은 혁신기술 개발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창사 이후 수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절반을 넘어서면서 ‘수출기업’으로 성장한 SK그룹은 도전정신과 ‘신개념 R&D’를 발판으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그룹 가치 300조 원 달성을 위해 과감한 투자와 신기술 개발에 전력을 집중하고 있다.

LG그룹은 에너지 솔루션 사업과 친환경 자동차부품 사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적극 육성하고 있다. 융·복합 정보기술(IT) 역량에 틀을 깨는 창의력을 더해 시장의 판을 흔들겠다는 각오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은 “한국 경제 발전은 불가능에 도전해 새로운 혁신을 창조한 한국 기업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정부는 기업가 정신이 왕성해지도록 투자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진우 기자 pjw@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