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하늘이 무너졌는데 상담 받으러 나오라니”

입력 | 2014-04-30 03:00:00

[세월호 참사/겉도는 현장]
현실 동떨어진 가족 지원




“○○동사무소입니다. 희생자 ○○○ 씨 가족이시죠? 시간 되면 보건소에 나와서 상담을 받으세요.”

28일 세월호 침몰 사고로 소중한 딸을 잃은 김모 씨(55)에게 걸려온 전화 내용이다. 깊은 슬픔 속에 하루하루가 지옥 같았던 김 씨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동네 보건소를 찾았다. 상담사는 처음 만난 김 씨에게 대뜸 집 주소를 묻더니 “지금 심정이 어떠세요?” “많이 힘드시죠”라는 식의 일상적인 질문을 이어갔다. 김 씨가 고개를 숙인 채 말없이 앉아있자 상담사는 “오늘은 여기까지 하자”며 상담을 끝냈다. 보건소를 방문한 지 10분도 안 되는 시간이었다. 김 씨는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은 피해자 가족을 도와준다면 전문 상담사가 직접 방문해 상세하게 이야기를 해 줘야 하는 게 기본 아닌가. 10분 만에 끝내는 형식적인 상담이 무슨 필요가 있느냐. 정부가 내놓는 대책이 다 이런 식이다”라며 울분을 토했다.

○ 현실과 거리 먼 피해자 가족 지원

엉터리 구조 현황을 발표하는 등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던 정부가 사후 대책을 시행하는 데에도 피해자 가족들의 현실과 거리를 좁히지 못하고 겉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 피해자는 정부의 지원대책이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 안산과 진도 현장에 파견 나온 공무원들의 형식적인 대응도 바뀐 게 없었다.

여성가족부 등 각 담당 부처 관계자들은 “큰 충격을 받은 세월호 피해자 가족들에게 조심스럽게 접근할 수밖에 없다. 적극적으로 정부의 대책을 알리기가 쉽지 않다”고 하소연했다. 그러나 현장에서 취재팀이 만난 가족들은 “현수막에 이번 참사 피해자를 돕는다는 내용의 홍보 문구를 보고 연락해 봤지만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정부의 대책과 피해 가족의 기대치 사이에 큰 차이가 있는 셈이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안산에는 피해 학생과 가정, 시민에 대한 심리치료를 지원하는 ‘통합재난심리지원단’이 마련됐다. 지원단 측은 “장례식장이나 피해자 가정을 파악 하고 있지만 각자의 사정이 다르다 보니 섣불리 접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당장의 치료보다는 가족들의 상황에 맞춰 지속적인 접촉을 추진하는 데 방점을 두겠다는 얘기였다.

그러나 피해자 가족의 반응은 냉랭했다. 단원고 희생자 임모 군(17)의 아버지는 “상담을 받으러 오라는 전화를 받았지만 자식을 잃고 망연자실한 상황에서 찾아갈 엄두가 나질 않았다. 주위에서 다녀온 사람들 역시 ‘안 가느니만 못했다’더라”고 전했다.

심리지원단은 이번 사고에서 생존한 단원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일대일 심리치료는 아직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청과 어떤 방식으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추진할지 조율 중이기 때문이다.

○ 피해자에게 실질적인 대책 절실

여성가족부는 가족 돌보미 150여 명과 자원봉사자 100여 명을 투입해 피해 가정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만난 가족들은 지원사항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경황이 없어 신청조차 못한 경우가 많았다.

취재팀은 29일 진도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여성가족부의 ‘긴급 가족 돌봄 지원서비스’ 부스를 찾았다. 이 부스에 놓인 안내종이를 들고 실종자 가족들을 만나 이 서비스를 알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실망스러운 대답이 돌아왔다. 실종된 단원고 교사의 한 어머니는 “체육관에 있을 때 신청서 같은 종이를 한번 나눠준 게 전부였다. 자식의 생사를 애타게 기다리는 부모가 그거 볼 정신이 어디 있느냐”고 반문했다. 실종된 아들 이모 군(17)을 기다리는 한 아버지 역시 “정부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한 상태에서 어떤 지원책이 나와도 믿을 수가 없다”고 했다.

공무원이 기부자의 연락을 제대로 챙기지 않아 국화 2만 송이 기부가 무산된 일도 있었다. 임영호 한국화훼협회장(59)은 세월호 침몰과 관련해 전국에 분향소가 생기면서 국화 공급이 부족하다는 소식을 접하고 화훼 관련 단체 회장들과 상의한 끝에 국화 2만 송이를 기부하기로 했다. ‘슬픔을 함께 나누자’는 취지였다. 임 회장은 25일 오후 6시경 교육부에 전화를 걸었다. 하지만 담당 직원이 현장에 파견돼 있다는 답변을 들었다. 그는 장례지원단에 전화해 파견된 직원을 찾았지만 해당 직원이 자리를 비워 통화할 수 없었다. 결국 전화를 받은 현장 직원에게 ‘국화를 기부하겠다’는 의사를 메모로 남겼다.

그러나 현장 직원이 메모를 전달하지 않아 다음 날까지 답신이 오지 않았다. 꽃의 유통기한 때문에 준비했던 국화 2만 송이는 경매시장에 내놓을 수밖에 없었다. 반면 안산시 합동분향소에 준비됐던 12만 송이 국화는 지난 주말 동이 나 ‘검은색 리본’으로 대체됐다. 임 회장은 “29일에야 교육부 담당 직원한테 사과 전화가 왔다. 공무원들이 이런 시기에 모두 자기 일처럼 관심을 가져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안산=김수연 sykim@donga.com   

진도=손효주 / 김성모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