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훈 파리 특파원
돌이켜 생각해보면 우크라이나 사태는 2월 소치 겨울올림픽 때부터 준비된 듯하다. 러시아의 문화적 우월성을 과시한 화려한 개막식부터, 겨울올림픽의 꽃인 여자 피겨스케이팅에서 기필코 자국선수에게 금메달을 안겨주기까지…. ‘현대판 차르’로 불리는 푸틴이 보여주고자 했던 것은 바로 부활하는 ‘러시아의 힘’이었다. 이어 푸틴은 겨울패럴림픽(장애인올림픽)을 마치기도 전에 계급장을 뗀 러시아 군대를 전격 투입해 크림 반도를 장악했다. 약 500억 달러(약 54조 원)를 들여 치른 소치 올림픽의 메시지가 인류 평화가 아니라 옛 소련의 영광 재현이었음을 스스로 증명한 셈이었다.
서방과의 지정학(地政學)적 체스 게임에서 푸틴의 전략은 늘 일관성이 있었다. 바로 자신이 비난하는 적에 대한 ‘모방’과 ‘패러디’다. 우크라이나 동남부에서 관공서를 점거한 마스크를 쓴 분리주의 시위대는 수도 키예프에서 2월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을 축출했던 마이단 광장 시위대의 패러디였다. 푸틴은 정부 청사를 점거했던 마이단 시위를 “서방의 지원을 받은 불법 쿠데타”라고 비난하면서 동남부의 친러 분리·독립 시위는 왜 나쁜 것이냐고 반문한다. 푸틴은 2008년 러시아의 조지아 침공 때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들먹였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코소보 사태 개입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의 구실로 삼았다.
‘신(新)냉전’ 시대의 전선은 더욱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푸틴은 ‘포스트 공산주의자’가 아니다. 그는 ‘올리가르히’로 상징되는 정경유착 자본주의의 비호자다. 크렘린이 연대하는 국제세력들도 더이상 좌파 일변도가 아니다. 프랑스의 국민전선(FN)이나 헝가리의 요비크당과 같은 유럽의 극우 민족주의자들은 반EU 정책을 통해, 유럽의 극좌파는 미국의 헤게모니와 싸운다는 명분으로 각각 푸틴과 연대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푸틴은 동성애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미국의 종교적 보수주의자들과도 손을 잡는 등 다양한 스펙트럼이 ‘비선형적’으로 결합한다.
러시아의 자존심 회복을 내건 푸틴의 크림 반도 합병은 21세기 들어 처음으로 강대국이 국경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킨 사건이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사태는 ‘유럽의 9·11테러’로 불리기도 한다. 우크라이나 분단은 북한 급변사태 등 한반도 유사시에 중국 러시아 등 주변국의 대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등 서방이 새로운 민족주의 파시즘의 등장에 너무 무기력했다는 점은 우려할 만한 대목이다.
전승훈 파리 특파원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