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경미 교수
주된 증상은 충격적인 사건이 반복적으로 떠오르거나 악몽을 꾸는 것, 사건과 관련된 상황 및 자극의 회피, 작은 자극에도 쉽게 놀라는 과각성, 수면장애, 집중력 저하, 잦은 분노 폭발 등이다.
이 때문에 스트레스와 외상의 차이점을 숙지해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스트레스’와 달리 전쟁, 고문, 해일, 성폭력 등 통상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재앙의 경험이 ‘외상’이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예를 보면 △생명에 위협이 되는 사건이나 외상을 경험한 경우 △아동기에 부모가 별거하거나 이혼한 경우 △우울장애, 불안장애, 알코올의존증 등 다른 정신질환이 동반된 경우 △외상이 매우 심각하거나 기간이 매우 긴 경우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경우 △외상 시 울부짖음, 떨림, 구토, 고립감, 무력감을 느꼈던 경우 등이다.
치료는 가족들을 비롯한 주변의 도움에서 시작된다. 정서적인 지지와 사건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용기를 북돋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환자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보인다면 이를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빨리 잊어야 한다’ ‘굳은 의지로 노력하라’ 등의 섣부른 조언은 적절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