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順命]권노갑 회고록김상현에 관한 기억

입력 | 2014-06-07 03:00:00

“DJ 국립묘지 참배에 김상현 빼야” 동교동 묘한 기류가…




○인제 보궐선거

1985년 3월 15일 김상현 민추협 공동의장 권한대행의 초청으로 그의 서울 창천동 자택에서 회담을 가진 DJ와 YS. DJ로서는 4년 10개월 만에 정치전면에 나서는 순간이었다. 동아일보DB

정대철 의원이 대선후보 경선에 나서도록 뒤에서 힘을 받쳐주었던 김상현 의원은 나하고 1961년 이래의 정치적 동지다.

그해 5월 13일 강원도 인제에서는 민의원 보궐선거가 실시되었는데 이때 김대중 후보가 운영하던 웅변학원의 학생 김상현 씨가 나와 함께 김대중 후보의 선거운동을 도왔다. 그의 나이 26세 때였다. 이 보궐선거에서 김대중 후보는 민의원 의원에 당선되었으나 사흘 뒤 5·16 군사쿠데타가 터져 국회가 해산되는 바람에 의원생활은 해보지도 못했다.

이후 정치정화법에 묶였던 김대중 선생이 다시 정치에 나선 것은 정치가 다시 재개된 1962년. 박순천 당수가 지휘하던 민주당의 선전부장 겸 대변인으로서였다. 김상현 씨는 바로 그 밑에서 선전부 차장 겸 부대변인을 맡았다.

그는 어려운 집안 사정으로 비록 대학을 나오지는 못했으나 학문을 동경하는 마음이 있어 늘 지식인이나 문화예술인을 가까이 하면서 그들로부터 배우려 했다. 타고난 재주와 순발력, 그리고 친화력과 포용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사람이었다.

1963년 11월에 제6대 총선이 있었다.

이때 김대중 대변인은 민주당 후보로 목포지구에서 출마하여 압승했고, 나는 국회로 진출한 김대중 의원의 국회 비서관이 되었으나, 김상현 씨는 그대로 당 부대변인으로 남아 있었다.

1965년 박순천 당수가 이끌던 민주당이 유진산 총재가 이끌던 민정당과 통합하여 민중당을 창당하게 되자 김대중 의원은 민중당 정책위원회 의장이 되어 활약하기 시작했다.

○6대 보궐선거

그러나 1965년 8월 한일협정 비준안 처리를 둘러싸고 당론이 양분됐다. 의원직 사퇴와 당 해산을 주장한 민정당계는 원내투쟁을 주장하던 민주당계와 결별하고 1966년 3월 30일 신한당을 창당함으로써 민중당은 통합 5개월 만에 다시 분당되고 말았다. 이 과정에서 윤보선, 서민호, 윤제술, 김재광, 정성태 의원 등이 국회의원직에서 사퇴하게 되어 그해 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 민중당 후보로는 문공부 체육국장을 지낸 경남 산청 출신의 김재위 씨와 검사 출신으로 국회의원을 역임한 주도윤 씨가 신청했으나, 김대중 정책위의장은 30세의 무명 청년에 지나지 않는 김상현 씨를 후보로 추천했고, 평소 김상현 씨의 친화력과 재주를 높이 사고 있던 박순천 당수도 이를 승낙했다.

이렇게 해서 김상현 씨는 서대문 지역구에 출마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의 경력은 김대중 대변인 밑에서 고작 부대변인을 한 것밖엔 없었다. 그런데 여당 후보는 서울시장을 역임한 거물급이었기 때문에 김상현 씨의 낮은 학력이 문제가 되었다. 박순천 당수는 고민 끝에 김상현 씨를 남편이 총장으로 있던 성균관대학에 급히 등록시킨 다음 졸업장을 얻게 했다. 그리고 서대문 지역구로 내보낸 뒤 당 차원의 조직을 총동원하여 선거전에 돌입했다.

이 선거에서 김대중 정책위의장의 사자후가 주효했음은 물론이다. 당시 민주당은 여당 후보가 서대문 출신이 아니라 성동구 출신이라는 것을 집중 부각시키면서 한일협정 문제로 이반된 민심을 흔들었다. 이렇게 하여 김상현 씨는 30세의 젊은 나이에 국회로 진출하게 되었던 것이다.

김상현 의원으로서는 이때 무명의 자신을 국회로 진출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김대중 정책위의장에게 큰 은혜를 입었다. 김상현 의원도 7대 대선과 그 후 고난의 시대를 거칠 때 늘 김대중 선생의 편에서 일하며 은혜에 보답했다.

○민추협 시대

그러던 김상현 씨와 김대중 선생 사이에 약간의 거리감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1984년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가 태동되면서부터였다. 당시 김대중 선생은 미국에 망명 중이었기 때문에 동교동계를 대표하여 김상현 씨가 상도동의 김영삼 씨와 민추협을 만들었는데, 정권차원의 방해로 통신이 자유롭지 못했던 것 등이 그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후 김대중 선생이 귀국해 김영삼 의장과 함께 민추협을 이끌게 되었다. 수많은 투쟁 끝에 마침내 1987년 6·10 민주항쟁이 일어났고, 이후 5공 정부는 정치규제를 해제하게 되었다. 이때 정치인들에 대한 사면복권이 4차례에 걸쳐 발표되었는데, 마지막 사면복권 대상자에 포함된 정치인들이 김대중, 김영삼, 김상현, 예춘호, 양순직 씨 등이었다.

사면복권이 되자 김대중 선생은 우선 국립묘지부터 참배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김상현 씨가 동작동 국립묘지 참배에 따라오면 안 된다는 여론이 동교동 주변에서 강력히 대두되었다.

그 이유는 당시 김대중 선생이 사면복권되면서 예춘호, 양순직, 김달수 씨를 위시한 정계 원로들이 다시 동교동계로 합세할 태세였는데, 호남 출신의 김상현 씨가 앞장서면 타 지역 출신들이 거리를 두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앞으로 있을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의 세력이 호남계로 국한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지역적으로 예춘호 씨는 영남사람이고, 양순직·김달수 씨는 충청도 사람이었다.  

▼ 김상현 만난 DJ “시의원이나 나가게” ▼

권노갑의 기억과 다른 ‘김상현의 기억’


“(월간잡지 ‘신세계’의 주간을 맡는 것과 별도로) 동양웅변전문학원을 운영했다. 당시 웅변은 정치인의 최대 무기였다. 50명 안팎의 원생들을 가르쳤는데 야망을 웅변에 담는 연습이었다. 나는 목포상고 때부터 웅변에는 소질이 있었다. 훗날 정치적 동지가 된 김상현, 김장곤 의원도 이때 학원에서 만났다.”(김대중 자서전 중에서)

DJ가 자서전에 적지는 않았지만, 동양웅변전문학원 원생 중에는 당시 서울대 사범대 교육행정과 학생이던 이상주도 있었다. 김대중 정부 때 청와대 비서실장과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지낸 그 이상주다. 2001년 9월 DJ가 한광옥 비서실장의 후임으로 이상주 정신문화연구원장을 발탁하자 당시 대부분의 언론들은 ‘대학 총장 시절 가끔 DJ의 교육 관련 자문에 응했지만 특별한 인연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했지만 실은 그렇지 않았다.

여하튼 1950년대 후반 웅변학원에서 시작된 후광(後廣·DJ의 아호)과 후농(後農·김상현의 아호)의 동행(同行)은, 발걸음 하나하나가 바로 한국 정치사였다. DJ와 권노갑의 관계는 목포상고 선후배로 시작했지만, DJ와 김상현의 만남은 처음부터 동지적 관계에서 출발했다.

나이로 치면 DJ가 1924년, 권노갑이 1930년, 김상현이 1935년생으로 차이가 많았다. 하지만 나이를 뛰어넘어 김상현은 1971년 DJ의 첫 대선 도전 때까지 그의 유일한 동지이자 참모였고, 참모이자 동지였다. 1972년 유신 직후 미국으로 망명한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의 회고록에도 김상현은 시종 ‘김대중의 유일한 심복’으로 나온다.

권노갑이 ‘목포상고 선배 김대중’을 돕기 위해 상경한 게 1961년 강원도 인제 보궐선거 직전이니까, DJ와의 인연도 김상현이 훨씬 더 앞서는 셈이다.

권노갑은 회고록에서 1965년 서울 서대문 보궐선거 당시 DJ가 ‘무명의 김상현’을 후보로 추천했다고 썼다. 권노갑은 “당시 상현이는 때가 되면 시의원에 출마할 생각이었다”고 했다. 실제로 김상현은 5·16 군사쿠데타로 중단된 지방자치가 부활하면 시의원에 출마하는 게 꿈이었다. 김상현은 언젠가 인터뷰에서 “감히 국회의원을 꿈꾸기에는 배운 것도, 가진 것도 너무 없었다”고 술회했다.

그러나 ‘DJ 추천’에 대해서는 권노갑과 김상현의 기억이 좀 엇갈린다. 뜻밖의 기회가 오자 김상현은 10년간 친형제처럼 지내온 DJ부터 찾았다. 그런데 DJ의 반응은 생각했던 것과 달랐다. “국회의원은 그렇게 쉽게 되는 게 아니네. 자네는 나중에 지방자치제가 부활하면 시의원이나 나가게.”

김상현은 “당연히 반가워하고 밀어줄 줄 알았는데, 솔직히 서운했다”고 회고했다.

김영삼(YS)이 ‘40대 기수론’을 들고 나와 당시 60대 장로(長老)들이 지배하던 야당가에 지각변동을 일으키자 DJ에게 대권 도전을 종용한 사람도 김상현이었다. 적어도 김상현의 기억은 그렇다. 그러나 김대중 자서전에는 “당시 나를 형님이라 부르던 이용희의 말에 영감을 받았다”고만 돼있을 뿐, 김상현의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

김창혁 전문기자 chang@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