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책 표지를 감싸는 감성의 옷… 띠지가 크고 화려해졌어요

입력 | 2014-06-11 03:00:00


상단의 두 책은 광고 문구가 들어간 높이 5㎝ 안팎의 기존 띠지다. 반면 가운데와 하단에 위치한 책 5권의 띠지는 높이가 13∼19㎝이고, 띠지 안쪽에 그림이 새겨져 있다. 출판계는 “책을 사면 바로 버려지곤 하는 띠지의 낭비를 막기 위해 크기를 키우고 디자인적 가치를 높였다”고 말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선택 전까지 나를 뚫어지게 쳐다 봐. 시선이 뜨거울 정도야. 그런데 선택된 후에는 가차 없이 버려지지. 비운의 여주인공도 아닌데…. 낭비의 주범으로 몰리기도 해. 업계 사람들은 나를 ‘팬티’라고도 불러. 그래도 내가 참 유용하지. 나를 잘 만들면 꽤 돈을 벌거든. 난 누굴까?

○ ‘띠지’가 아주∼
, 넓어졌다

정답은 ‘띠지’다. 책 표지의 아랫부분을 두르는 종이 장식을 말한다. 대다수 출판사는 ‘아마존 1위 필독서’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등의 홍보 문구를 띠지에 새겨 신간을 알린다.

유행에 따라 넥타이 폭이 달라지듯, 요즘 출판계에선 책의 띠지를 최대한 크고 넓게 제작하는 게 트렌드다. 기존 띠지 크기가 책의 5분의 1 정도였다면, ‘윤대현의 마음성공’ ‘아무도 없는 밤에 피는’ 등 최근에 출판된 신간은 띠지가 책의 절반, 심지어는 3분의 2까지도 차지한다. 민음사 미술부 황일선 차장은 “신간 중 약 20%는 큰 띠지를 사용한다”며 “단순 홍보가 아니라 책의 이미지와 내용에 맞게 디자인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띠지에 주로 광고 문구를 넣던 것과 달리 넓어진 띠지에는 사진이나 타이포그래픽 등 각종 이미지가 채워진다. 신간소설 ‘아무도 없는 밤에 피는’의 띠지는 홍보 문구 대신 쭈그려 앉은 소녀 사진이 들어가 있다. 책을 낸 아르테 출판사는 “소설과는 상관없는 일본 배우 사진”이라며 “책의 주제를 관통하는 이미지라서 띠지에 넣었다”고 했다.

책의 5분의 4를 차지하는 ‘초대형’ 띠지도 있다. 알에이치코리아의 윤석진 북디자이너는 “표지와 띠지가 상호 조화를 이루면 1차 이미지를 구축한다”며 “독자 취향에 따라 띠지를 벗기면 안에는 심플한 표지 디자인이 나오면서 2차 이미지가 생긴다. 디자인 다양화 전략인 셈”이라고 말했다. 띠지를 벗겨 뒤집으면 안쪽에 그림과 설명이 새겨진 경우(‘그림자 너머’)도 있다. 출판사들이 무조건 큰 띠지를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 대형 작가의 신작소설이나 시의성 강한 이슈를 담은 책은 주제와 관련된 강렬한 카피 문구가 들어간 작은 띠지를 선호하고 있다.

○ 띠지의 진화 어디까지?

띠지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90년대 후반. 출판사들은 비용이 많이 드는 광고를 대신할 홍보수단을 찾았다. 초기에는 책 표지 자체에 광고 문구를 넣기도 했지만 책의 품격과 맞지 않다는 비판이 많아 포기했다. 이후 대안으로 띠지가 등장한 것.

반면 독자에게 띠지는 불필요한 ‘존재’였다. 2011년 한 언론매체가 시민 767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독자의 86.7%가 “띠지는 필요 없다. 자원 낭비”라고 답했다. 이에 출판사들은 잘 찢어지지 않고 고급스러워 보이는 투명종이, 금속성의 종이로 띠지를 제작해 소장가치를 높이려 했다. 비용 절감을 위해 책 표지의 면을 분할해서 마치 띠지인 것처럼 느끼게 하는 ‘페이크(fake) 띠지’도 선보였다.

한 출판사 편집자는 “대형 띠지는 출판계 불황과도 관계된다”며 “조금이라도 더 차별화해 눈에 띄게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형 띠지에 대한 독자의 반응은 엇갈린다. 회사원 장한나 씨(31)는 “새롭긴 하다”면서도 “출판사 간 출혈경쟁을 하기보다는 가격이나 내려달라”고 말했다. 실제 띠지가 커지면서 제작비용도 2, 3배 늘었다. 기존 띠지는 원가(30∼40원), 띠지 삽입 인건비(70∼100원) 등 권당 100∼140원이 든다. 하지만 띠지를 키우면 권당 60∼100원이 추가된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