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구 선생이 ‘조선독립의 숨은 은인’으로 칭송한 中 위빈 주교는?

입력 | 2014-06-17 03:00:00

항일투쟁 물심양면 도운 ‘正義使者’
최기영 서강대 교수 논문서 조명




위빈 주교의 젊은 시절 모습. 김구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항일전쟁의 동지로 여겼던 그는 한국의 독립운동에 관한 일이라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한인 독립운동가들은 한중(韓中)연대의 상징이었던 위 주교를 ‘중국 십자군의 통수’, ‘난세의 정의사자’라고 불렀다. 구글 이미지

1940년 11월 11일 중국 충칭(重慶)의 한 음식점. 이튿날 시안(西安)으로 총사령부를 옮기는 한국광복군 송별연 자리에서 김구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이 일어났다. 그의 손에 들린 것은 ‘正義使者(정의사자)’ 4자가 수놓인 비단깃발. 김구는 이 깃발을 연회 주최자인 중국인 주교 위빈(于斌·1901∼1978)에게 건넸다.

위 주교에 대한 김구의 존경심은 1945년 12월 29일자 동아일보에서도 확인된다. 김구는 이 날짜 기사에서 “(위 주교가) 포츠담 회의에서 장제스 (중국 국민정부) 주석의 고문 자격으로 참석해 ‘조선 민족에게 독립을 주어야 한다’고 외쳤다”며 그를 ‘조선 독립의 숨은 은인’으로 소개했다.

위 주교는 어떤 인물이었기에 김구에게 이런 찬사를 받았던 걸까. 최기영 서강대 교수(사학)는 논문 ‘우빈 주교와 한국독립운동’에서 위 주교와 한국 독립운동의 인연을 상세히 밝히고 있다. 이 논문은 8월 발간되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설립 50주년 기념논집에 실릴 예정이다.

김구 임시정부 주석이 위빈 주교를 ‘조선독립 공약의 숨은 은인’으로 회고한 본보 1945년 12월 29일자 기사. 동아일보DB

위 주교는 중국 헤이룽장 성 출신으로 14세 때 ‘바오로’로 영세를 받고 1924년 이탈리아 유학을 떠났다. 1928년 사제 서품을, 이듬해 우르바노대 철학박사를 받은 그는 1936년 난징 주교로 임명을 받고 귀국한다. 이듬해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두터운 해외 인맥을 활용해 항일 전쟁비용 모금과 지원, 대외 선전에 힘쓰던 그는 1940년경 김구를 비롯해 충칭 임시정부 관계자들과 만나면서 조선독립운동의 조력자가 된다.

1940년 9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에서 “정의와 공정함이라는 하느님의 진리로 무장한 광복군이 최종 승리할 것”이라며 광복군의 앞날을 축복한 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중국 천주교의 정신적 지주로 훗날 중국의 두 번째 추기경이 되는 그는 자신이 사장으로 있던 천주교 신문 ‘익세보’(1940년 11월 12일자)를 통해 “350만 중국 천주교 신도들은 한국 광복운동에 협조하라”는 ‘총동원령’을 내렸다. 장제스의 신임이 두터웠던 그는 한인이 많이 사는 만주에 (항일) 유격대를 파견하라고 국민당 정부에 요구했고, 김구 등 임시정부 관계자와 장제스의 만남도 주선했다.

1943년 3월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한 그를 재미 한인들은 ‘국빈’으로 맞이했다. 그들은 영문과 한문으로 ‘하늘이 위인을 내려 보내사 난세의 정의사자가 되었습니다’라는 문구가 새겨진 은제 성찬배를 만들어 위 주교에게 선물했다.

그는 임시정부가 국제사회의 승인을 얻는 일에도 적극 나섰다. 중국 정부 안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논의가 나오자 승인을 적극 주장했고, 1945년 4월 연합국 50개 나라 대표단이 2차 대전 전후처리 방향을 논의한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임시정부 대표단이 회의 참석을 거부당하자 마치 자기 일처럼 중국 등 외국 대표단장을 설득하려 했다.

최 교수는 “김구는 위 주교가 ‘포츠담 회의’에서 한국 독립문제에 크게 기여했다고 회고했지만, 이는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의 활약을 착각한 것으로 보인다”며 “위 주교는 포츠담 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위 주교는 죽기 전까지 모두 다섯 번 독립된 한국 땅을 찾았다. 1954년 4월 첫 방한의 소감은 “20년 전부터 희망하던 목적을 이뤘다”였다. 정부는 1969년 8월 남산에 세운 김구 동상 제막식에 참석하려 방한한 그에게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수여했다. 일제강점기 나라 잃은 약소민족의 손을 잡아준 ‘정의사자’에게 바치는 감사의 징표였다.

우정렬 기자 passion@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