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병장 같은 사람이 군대에만 있으란 법 없잖아?”
일반전방소초(GOP)에서 근무하던 ‘관심병사’ 임모 병장의 총기난사 사건으로 인해 사람들은 충격의 도가니에 빠졌습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자신이 겪었던 최악의 관심병사에 관한 일화가 쉴 새 없이 올라왔습니다. 군대에 가본 적이 없는 여성들은 “관심병사가 무슨 뜻인가요?”라며 질문을 던지기도 했습니다. 한 주간 검색어 순위에서 관심병사는 상위를 달렸습니다.
관심병사는 부대생활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다소 생소한 단어입니다. ‘호기심이 많은 사람?’ ‘관심이 필요한 사람?’ ‘인기가 많은 사람?’… 듣는 순간 머릿속엔 물음표가 맴맴 돕니다.
기자는 어렸을 때 군인인 아버지를 따라 부대 내 교회에 다닐 때 이 단어를 배웠습니다. 관심병사와 동의어지만 어감이 좋지 않아 최근엔 잘 쓰지 않는 말입니다. 말 그대로 조직에 적응하지 못해 열외의 대상이 되면서 조직원들에게 피해를 주는 존재라는 뜻입니다. 저도 고문관을 본 적이 있습니다. 예배가 끝난 뒤 혼자 대열에서 빠져나와 초코파이를 들고 멍하니 걸어 다니던 상병. 사람들은 그를 고문관이라 부르며 놀렸습니다.
이번 총기난사 사건을 지켜본 많은 사람들은 ‘우리 안의 임 병장’을 떠올립니다. 조직에 적응하지 못하는 관심병사가 혹시 내가 속한 조직에는 없는지 생각하는 겁니다. 일을 못한다며,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한다며, 무시하고 방치했던 주변의 동료를 떠올립니다. 그가 임 병장처럼 어느 날 분노를 주체하지 못하고 ‘묻지 마 테러’를 벌이진 않을까 두려워지기도 합니다. 또 ‘내가 혹시 임 병장은 아닌가? 조직에 대한 불만을 풀지 못하고 마음속에서 화병을 키우면서 살아가는 것은 아닌가?’ 하는 고민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일까요? 이번 사건을 바라보는 누리꾼들의 반응은 단순히 임 병장 개인을 비난하는 데에 그치지 않습니다. “조직원들의 심리건강 상태도 제대로 체크하지 못한 책임이 군에 있다” “최전방 복무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이 이번 참사를 빚었다” “개인에게만 화살을 돌릴 게 아니라 시스템을 다시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개인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감 던지기, 끼리끼리 뭉치고 누군가는 왕따 시키기, ‘정상 수준’에서 벗어난다고 비난하며 낙인찍기…. 우리들이 그동안 느꼈던 조직의 병폐들이 임 병장 사건과 오버랩된 것입니다.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는 죽는다. 누구도 나와 같은 상황이라면 힘들었을 것이다.”
임 병장의 메모에서는 조직에서 자신의 외로움을 알아주지 않았던 것에 대한 깊은 분노가 느껴집니다. 물론 그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고, 동료에게 총부리를 겨눈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죗값을 치러야 합니다. 부대 내에서 왕따를 당한다고 전우들을 살해하는 것은 용서받지 못할 범죄입니다.
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이번 기회에 ‘우리 안의 임 병장’을 살펴볼 필요는 없는지 하는 생각도 듭니다. 갈수록 거칠어지는 사회에서 이런저런 일로 상처받는 사람이 많은 세상이기 때문 아닐까요. 내가 속한 조직에서 동료는 마음의 상처를 잘 치유하고 있는지, 그리고 나는 이 상처를 잘 다스리며 성장해 나가고 있는지 돌아보는 기회가 있어야 합니다. 나와 내 동료에 대한 위로와 칭찬, 격려의 시간을 갖는 게 필요하다는 겁니다. 그것이 ‘우리 안의 임 병장’을 괴물로 키우지 않는 방법일 겁니다.
김수연 정책사회부 기자 sy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