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어제 오전 서울대 강연에서 “역사상 위태로운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중한 양국은 서로 도와주면서 고통을 함께 극복했다”며 “400여 년 전 임진왜란 당시 양국 국민은 적개심을 품고 어깨를 나란히 해서 전쟁터로 향했다”고 말했다. “20세기 일본 군국주의가 중한 양국에 대한 야만적 침략을 해 양국 모두 큰 고난을 겪었다”며 과거에 빗대 일본의 우경화를 경고하고 한중 공동 대응을 촉구하는 모습이었다. 글로벌공학교육센터 대강당에서 학생들 대상으로 한 강연이어서 과학기술 발전이나 미래 비전 제시가 예상됐지만 시 주석은 일본의 침략 역사를 작심한 듯 공격했다.
그제 박근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이 “내년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와 한반도 광복 70주년을 공동으로 기념하자”고 제안한 사실도 중국에서 먼저 보도된 뒤 국내에는 어제서야 확인됐다. 전날 채택한 정상회담 공동성명과 기자회견에선 외교적 마찰을 고려해 일본에 관한 언급이 없었는데 하루 만에 달라진 것이다. 시 주석의 서울대 강연이 ‘압박’으로 작용했는지 어제 비공식 오찬에서 박 대통령은 일본의 집단자위권 행사와 고노 담화의 훼손 시도에 대해 시 주석과 함께 우려를 표명했다고 청와대가 뒤늦게 밝히기도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정부의 과거사 부정은 중국은 물론 한국으로서도 용납할 수 없는 역사적 퇴보다. 일본이 과거 침략의 역사를 반성하고 ‘정상국가’가 되게 하려면 한중이 힘을 모으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시 주석이 한국 땅에서 공개적으로 ‘일본 때리기’에 나선 배경에는 한일 관계를 더 벌어지게 하려는 의도가 역력해 개운치 않다. 120년 전 한반도에서 벌어졌던 청일전쟁이 지금은 ‘말 폭탄’으로 재연되는 양상이다. 시 주석은 한중이 일본에 맞서 싸운 사례만 거론했지만 중국은 임진왜란 발발 44년 뒤 병자호란을 일으켰고, 북한을 돕기 위해 6·25전쟁에 개입하는 등 한국을 괴롭힌 역사도 분명 존재한다.
결국 시 주석은 한국을 ‘일본 때리기’에 끌어들임으로써 한미동맹과 한미일 공조에 균열을 꾀하는 외교적 성과를 거두게 됐다. 동북아에서 세력 확대를 추구하는 중국과, 일본을 통해 이를 제어하려는 미국 사이에서 한국이 전략적 딜레마에 빠져선 안 될 일이다. 정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국익이 손상되지 않도록 현안에 따라 한미일과 한중 공조를 놓고 ‘등거리 외교’로 균형을 잡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