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뉴스룸/문병기]50년전 한국과 알제리

입력 | 2014-07-09 03:00:00


문병기 경제부 기자

여름밤을 뜨겁게 달군 브라질 월드컵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치열한 지역예선을 거쳐 월드컵에 진출한 32개국 축구팀 중 이제 4팀만 남아 우승컵을 다투고 있다. 남미(브라질 아르헨티나)와 유럽(독일 네덜란드)을 대표하는 전통의 강호들이 맞붙는 이번 4강 대진표는 84년 역사의 월드컵을 통틀어서도 최고로 꼽힌다.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모인 강팀들의 격돌을 보는 것도 즐겁지만 약체로 분류됐던 ‘언더도그(underdog·약자)’들이 예상을 깨고 강호를 물리치는 것도 월드컵을 보는 또 다른 재미다. 특히 H조 최약체라는 평가를 받고도 사상 첫 16강 진출이라는 성과를 낸 알제리는 이번 대회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언더도그 중 하나였다.

축구팬을 매료시킨 알제리 축구의 특징은 경기마다 상대의 허를 찌르는 변화무쌍한 전술이었다. 첫 경기인 벨기에전에서는 일부러 좌우균형을 무너뜨린 비대칭 수비전략을, 한국전에서는 선발진을 발 빠른 선수들로 대거 교체하며 수비 뒷공간을 노리는 역습의 진수를 선보였다. 안타깝게 패했지만 마지막 독일전에서는 변칙적인 수비전술로 독일을 벼랑 끝까지 몰고 가기도 했다.

도무지 승산이 없어 보이는 약자들이 강자를 누르고 승리를 거머쥘 수 있는 비결은 적극성과 변화무쌍함으로 대표되는 ‘야성’이다. 잃을 것이 적은 약자는 변화에 재빠르게 적응하기 수월하다. 반면 변화를 거부하고 성공의 기억에 안주하는 강자들은 치명적 약점을 노출하게 된다. 알제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력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은 한국 대표팀이 동메달을 땄던 런던 올림픽 당시 전술을 고집하다 1무 2패의 쓰디쓴 실패를 맛본 것처럼 말이다.

알제리와 한국 대표팀의 엇갈린 희비를 보며 한국 경제를 떠올렸다. 50년 전 최빈국이었던 한국은 변화무쌍했던 알제리 축구팀처럼 농업국가에서 경공업국가로, 다시 중공업국가에서 정보기술(IT)강국으로 거듭나며 한강의 기적을 일궜다. 석유파동과 외환위기 등 경제위기의 파고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으며 약점을 강점으로 뒤바꾸는 저력을 선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선진국의 문턱에 선 지금 저성장, 저물가, 내수와 투자 부진의 늪에 빠진 한국 경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성장 잠재력을 높이겠다며 정부가 들고 나온 서비스업 활성화와 규제완화 대책은 갈등과 혼선 속에 공회전을 거듭하고 있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전날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답변서에서 “한국 경제가 조로(早老)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고위 공직자의 공식적인 발언에서 쉽게 찾아보기 힘들었던 경제인식이다. 변화는 위기를 인정하는 데서 시작된다. 한국 경제가 그간 성장의 원동력이 됐던 약자의 야성을 되찾게 되길 기대한다.

문병기 경제부 기자 weapp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