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한국, 동북아 평화체제 리더돼야”

입력 | 2014-07-11 03:00:00

경희대서 석학초청 대담




7일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캠퍼스에서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시아의 미래’를 주제로 한 ‘2014 석학 초청 대담’이 열렸다. 왼쪽부터 정종필 경희대 미래문명원 부원장, 마이클 푸엣 하버드대 교수, 존 리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 유종성 호주 국립대 교수. 경희대 제공

경희대와 경희사이버대는 7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 네오르네상스관 네오누리에서 ‘2014 석학 초청 대담’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동북아시아의 경제, 안보협력과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한중일 삼국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토론회는 정종필 경희대 미래문명원 부원장이 사회를 맡고, 마이클 푸엣 미국 하버드대 교수, 존 리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 유종성 호주국립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중국의 부상은 위기인가’라는 주제에 대해 리 교수는 “한국에는 기회”라며 “일본의 정상국가화와 중국의 부상은 동북아에서 잠재적인 위협이긴 하지만 한국에 중국은 첫 번째 교역 대상국이기 때문에 중국이 경제 발전을 이룰수록 한국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푸엣 교수는 “중국은 이미 국제사회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중국에 대응하는 것에 더욱 많은 주의를 기울이며 변화에 대응하는 것 자체가 위기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과 정상회담의 의미에 대해 유 교수는 “북한은 한중 관계에 큰 반감을 갖고 있고, 그런 의미에서 이번 정상회담은 북핵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제공했다”고 분석했다. 리 교수는 “시진핑은 국제 문제는 물론이고 국내 문제를 정리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있다”며 “국제적인 문제를 국내 문제에서 적용해 이익을 얻으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중국은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많은 이익을 얻는 데 더 관심이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본과 동북아시아의 역사 문제에 대해서는 토론자 모두가 “일본이 많은 잘못을 했지만 이에 휩쓸리지 않고 침착하게 일본의 민족주의를 완화하며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동북아시아 통합을 위해 누가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리 교수는 “남한이 바로 그 리더가 되어야 한다”며 “중국과 일본의 부상은 서로에게 위협을 가져오고 경쟁적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남한이 국제적으로 가장 평화적인 구도를 형성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푸엣 교수는 “중국이라는 거대한 힘을 중심으로 뭉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남한이 중재 역할을 해서 세력 균형을 이루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 유 교수는 “북한은 일본과 미국 등 주변국의 위협에 대해 다른 선택권이 없었고 체제의 보호를 위해 북핵은 불가피했다”고 말했으며, 리 교수는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중국이 의지를 갖고 적극적으로 다가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통일의 가능성에 대해 리 교수와 푸엣 교수는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리 교수는 “혁명이 일어나야 가능한 일”이라며 “굉장히 어려울뿐더러 가능하다고 해도 중국이 방해할 것”이라고 말했다. 푸엣 교수도 “평화적인 관계는 유지할 수 있어도 통일은 북한이 붕괴하지 않는 한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어떤 형식의 통일을 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며 “한국의 경우 그간 급진적인 접근과 우회적인 접근을 모두 시도했지만 명확한 효과를 보지 못했고, 합리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장기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