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박정자의 생각돋보기]시간표의 정치학

입력 | 2014-08-23 03:00:00


프랑스 혁명 달력

참 낭만적이기는 했다. 종래의 그레고리안 달력을 파기하고 1년의 달 이름을 ‘꽃피는 달(플로레알)’ ‘안개 끼는 달(브뤼메르)’ ‘파종하는 달(제르미날)’ ‘찌는 듯이 더운 달(테르미도르)’처럼 계절과 자연을 연상시키는 이름으로 바꿨다. 프랑스 대혁명 때의 일이었다. 루이 16세를 단두대에서 처형하고 온건파인 지롱드당도 숙청한 후 자코뱅파가 수학자와 시인들을 동원하여 1793년에 만든 ‘공화국 달력’이었다. 달력만이 아니라 시계도 바꾸었다. 열두 달을 똑같은 일수(日數)로 나누었고, 1주는 열흘, 1일은 10시간, 1시간은 100분 등의 십진법으로 통일했다. 그러나 이 시적(詩的)이고 낭만적인 공화국 달력 밑에서 최대 50만 명의 무고한 시민들이 목숨을 잃는 공포정치가 이어졌다.

레닌도 시간표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전략이라는 것을 간파한 혁명가였다. 혁명세력의 수장이 된 후 그가 우선 착수한 사업은 꼼꼼한 시간표 작성이었다. 엄격하게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민중봉기의 과업을 수행했으며, 이의를 다는 사람은 과감히 숙청했다. 프랑스 혁명의 로베스피에르처럼 그도 역시 새로운 시간의 창시자이자 새로운 시계 제조인이었다. 앙리 레비의 말마따나 지배자는 시간을 사유재산화하는 사람들이다. 스파르타쿠스에서 중국의 문화혁명에 이르기까지 시간에 대한 반항으로 반항을 시작하지 않은 혁명은 하나도 없지만, 그러나 시간표의 정치학은 특히 근대 이후의 특징인 듯하다.

근대 사회에 이르러 감옥은 물론이고 병영, 학교, 작업장 등 많은 사람들을 일목요연하게 통제해야 하는 장소에서 소수의 요원이 다수의 인원을 효율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시각적 배치가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푸코가 판옵티콘이라고 이름 붙인 공간 분할의 다이어그램이다. 그러나 공간만이 아니라 시간을 세밀하게 나누는 시간표 작성도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기상시간, 취침시간, 작업시간, 공부시간 등의 주요 시간대는 물론이고 침대에서 내려와 침구 정돈하는 시간, 식사 전 손 씻는 시간까지를 엄격히 정하여 그것을 지키지 않으면 벌을 주는 규율체제가 들어섰다. 합리적인 시간의 배분이라는 표면적인 이유가 물론 있었지만, 푸코는 그 뒤에 규율적 통제라는 강력한 권력의 행사가 있음을 간파한다. 세밀한 시간표를 통해 타인들에게 힘을 행사할 수 있고, 힘을 행사한다는 것은 곧 권력이므로, 시간표는 결국 권력을 실어 나르는 운반수단이기 때문이다.

경기도교육청은 ‘학생들이 부모와 아침 식사를 하고 아침잠도 더 잘 수 있도록’ 9월부터 경기 지역 모든 초중고교에서 ‘9시 등교’를 전면 시행하겠다고 한다. 맞벌이 부부들의 불만, 자녀들의 공부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 등이 제기되지만, 사실 30분 내외의 시간은 사소하여 별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왜 굳이 별로 시급하지도 않은 시간표의 변경이 교육감 취임 후 최초의 중점 사업이어야 하는가? 왜 그들은 우리의 아침 시간, 저녁 시간에 그리도 친절하게 관심을 기울이는가? 사소한 시간표에서 거대한 혁명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그리고 타인의 시간을 통제하는 자 세상을 지배하게 된다는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어야 할 것 같다.

박정자 상명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