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14/09/17/66451003.2.jpg)
양종구·스포츠부 차장
김기복 한국실업축구연맹 부회장은 14일 태국에서 열린 일본과의 아시아축구연맹(AFC) 16세 이하 선수권대회 8강에서 2골을 터뜨려 2-0 완승을 주도한 이승우(16·바르셀로나·이하 바르사)의 플레이를 보고 감탄사를 쏟아 냈다. 아르헨티나 출신 세계적인 축구스타 리오넬 메시(27·바르사)의 어릴 때를 보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이승우는 ‘조기 유학’이 만들어낸 작품이다. 한국유소년축구연맹(KYFA)이 2009년부터 스페인 카탈루냐 현지에서 바르사와 비야 레알 등 유소년팀 초청 대회를 만들어 한국의 유망주들을 스페인 프로축구 관계자들에게 선보였다. 2009년 백승호(17·바르사)가 뛰었고 이승우는 2010년 대회에 출전해 그 이듬해 장결희와 함께 바르사에 둥지를 틀었다.
바르사는 이승우에게 날개를 달아줬다. 어떤 플레이를 해도 혼나지 않았다. 자유자재의 드리블과 거침없는 돌파에 이은 슈팅은 바르사의 자유로운 훈련 분위기가 만든 것이다. ‘승리 지상주의’에 빠진 국내에 있었다면 나올 수 없는 플레이다. 문홍 원장은 “한국은 무조건 앞으로 나가라고 가르친다. 축구는 상대를 흔들어 무너뜨리는 스포츠다. 그러기 위해선 천천히 플레이하는 법도 익혀야 한다. 메시와 안드레스 이니에스타처럼 천천히 부드럽게 하다가 쏜살같이 움직여야 상대의 허를 찌를 수 있다. 이승우는 바르사에서 그걸 배웠다”고 말했다.
바르사 유소년 3인방 이승우와 장결희, 백승호를 보면 한국에도 ‘제2의 메시’가 될 자원이 있다. 하지만 기술보다는 승리를 강조하는 한국 축구의 시스템이 유망주들을 ‘생각 없는 축구 기계’로 만들고 있다. 이런 비판이 한두 번 나온 게 아닌데 바뀌지 않고 있어 더 문제다. 지도자들이 승리가 아닌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아직도 국내 선수가 대학을 가기 위해서는 개인의 자질보다 전국대회 4강이나 8강의 성적이 필요한 게 한국 축구다. ‘제2의 이승우’를 국내에서도 키울 수 있는 토대가 필요하다. 한국 축구를 총괄하는 대한축구협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양종구·스포츠부 차장 yjong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