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오늘과 내일/최영훈]박영선이 독배를 마시고 죽을 자리

입력 | 2014-09-19 03:00:00


최영훈 논설위원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김한길-안철수 지도부 사퇴 이후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지 않기 위해 버틸 때까지 버텼다. 하지만 결국 “독배를 마시라니 마시고 죽겠다”며 받아들였다. 왜, 독배라고 했을까. 당내 혁신과 온건 노선을 단숨에 삼키는 고질적인 계파정치가 마음에 걸렸기 때문일 것이다.

김한길 전 공동대표는 “10년 동안 당대표와 지도부가 무려 26번이나 바뀌었다”며 계파 정치를 비판했다. 그러나 비주류 수장인 그 역시 계파의 벽을 넘지 못하고 당 혁신의 꿈을 접었다.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연합’과 통합을 이뤄내는 데는 성공했지만 7·30 재·보선 공천파동이 족쇄가 되어 무너졌다.

박 대표는 계파의 역학관계에 따라 언제든지 물러날 수밖에 없는 처지였다. 원내대표로서 전 지도부가 물러나던 상황을 생생하게 지켜봤다. 관리형 대표에 머물면 모를까 자신이 독배를 마시고 죽을 차례가 온 것을 직감했을 것이다. 그래서 비대위원장을 끝까지 맡지 않으려고 했다. 그러나 물러설 곳은 없었다.

독배를 마신다는 것은 죽기를 각오한다는 말이다. 이순신 장군이 강조한 사즉생(死則生)의 자세로 박 대표가 세월호 특별법 협상을 파기하지 않고 버텼어야 했다. ‘지는 것이 오히려 국민의 지지를 얻는 길일 수 있다’며 당 안팎 설득에 더욱 심혈을 기울였어야 했다. 그러고 실패했을 때 진퇴를 분명히 하는 것이 독배를 마시고 죽는 것이고, 그때 죽었다면 살아날 길도 있었다.

두 차례 협상 파기로 치명상을 입은 뒤 꺼낸 ‘이상돈 카드’는 애초부터 먹힐 리 없었다. 국민이 공감하는 정당 개혁에 시동도 걸어보지 못하고 나흘 만에 ‘탈당 카드’를 힘없이 접었다. 돌아온 박 대표는 죽은 것도 산 것도 아닌 애매한 상황이다. 그를 끌어내린 당내 강경파는 여전히 날을 세우고 있다. 어찌 보면 독배를 마시기도 전에 태클에 걸려 넘어진 셈이다.

박 대표는 “세월호 특별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며 박근혜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세월호 특별법 문제 해결에 마지막 혼신의 힘을 쏟겠다고 다짐하지만 공허하게 들린다. 지나간 얘기지만 2012년 1월 당내 경선 때 그는 당시 여당 대표인 박 대통령을 겨냥해 ‘朴 대 朴의 대결’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기염을 토한 바 있다.

박 대통령도 박 대표처럼 3선 의원 때 제1야당 대표(2004∼2006년)를 맡았다. 그때 공천개혁을 단행하며 당 혁신에 나섰다. 당을 시스템으로 운영했고, 당직은 탕평인사를 했다. 당시 무시하기 힘든 중진의원이 찾아와 “유능한 인재를 비례대표로 추천하겠다”고 말하자 “공천심사위원장님을 만나서 상의하세요”라고 잘라버렸다. 그런 자세로 임해 당내 계파정치는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비주류에 위원장을 맡겨 공정한 경선룰과 혁신안을 만들었다. 그래서 2011년 서울시장을 야당에 넘겨준 뒤 당은 그에게 다시 비대위원장을 맡겼다. 당내 혁신과 위기 돌파에 성공한 것이 대통령에 오른 원동력이었다.

머지않아 박 대표는 비대위원장에 이어 원내대표도 내놓아야 한다. 당 혁신에 나설 기회가 박 대표에게 다시 올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평당원으로 돌아가서도 할 일이 있다. 내년 1월 각 계파가 합종연횡 할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 분란은 또 일어날 것이다. 계파정치를 청산하지 않고는 야당에 미래가 없다. 비교적 계파색이 옅은 그가 계파정치라는 괴물을 상대로 독하게 싸우는 모습을 보고 싶다. 그것이 자신을 죽이고 당을 살리라는 원로들의 요청에 답하는 것이다. 정치인은 죽을 자리를 알아야 하고, 제대로 죽어야 다시 살아날 수 있다.

최영훈 논설위원 tao4@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