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가 월 100만 원으로 전원생활을 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래도 적은 소득에 맞춰 사는 법을 터득해야 전원에서의 안착이 가능해진다. 초가을 전원의 풍경. 박인호 씨 제공
박인호 전원칼럼니스트
2년 전, 한 출판사로부터 책을 내자는 제안을 받았다. 출판사 관계자는 본인이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라면서 “나도 몇 년 후 은퇴하면 시골로 내려가려고 한다. 주변을 보면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참 많은데 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다”고 출간을 제의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의 전원생활 계획은 이랬다. 시골 땅과 집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도시 부동산을 처분해 마련한다. 이후 실제 생활비 확보가 관건인데, 먹거리 대부분은 자급식 텃밭농사를 통해 해결한다. 나머지 생활비는 연금으로 50만 원가량을 확보하고, 부족분 50만 원은 농번기 때 품을 팔아 충당한다는 것이다.
최근 귀농·귀촌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화하면서 관련 강의를 하는 전문가도 많다. 어떤 이들은 월 100만 원이면 시골에서 부부가 큰 불편 없이 살 수 있다고 말하는 모양이다(그가 실제 농촌생활을 하고 있는지, 해본 적이 있기나 한 건지는 알 길이 없다).
귀농·귀촌 관련 책들도 쏟아져 나오는데, 대개는 적은 돈을 가지고도 성공적인 전원생활이 가능하다며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각종 귀농·귀촌박람회의 세미나에서도 비슷한 주제가 자주 내걸린다. 또 요즘에는 방송 프로그램마다 깊은 산중에서 돈 없이도(?) 잘살아가는 ‘자연인’을 앞다퉈 소개하고 있다. 이런 사람들을 보고 있노라면 나도 저 사람처럼 따라할 수 있을 것 같은 착각을 갖게 만든다.
하지만 귀농이든, 귀촌이든 실제 시골에서 살고 있는 이 대부분은 “개인 차가 크긴 하지만, 월 100만 원으로 부부가 전원생활을 해나가기는 어렵다”고 말한다. 이미 시골에 들어온 지 10년이 넘어 완전히 정착한 이들조차도 “월 100만 원으론 쉽지 않다”고 한다.
전원생활 5년 차인 필자 가족의 가계부를 들여다보면, 처음 1년은 월 100만원은커녕 도시에서의 씀씀이가 그대로 이어졌다. 경조사 비용도 그렇고, 도시에서 먹고 입고 활동하던 생활 패턴을 한순간에 무 자르듯 단절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지라 차량 유지 비용은 되레 크게 늘었다. 귀농 이듬해 부족한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보험료를 납부 중이던 보험 상품을 계약 기간 안에 손해보고 해약한 적도 있다.
현재 필자 가족의 경우 고정비만 월평균 100만 원이 넘게 든다. 항목별 월평균 비용을 보면,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20만 원 △전기료(농업·주택용) 9만 원 △휴대전화 사용 요금 15만 원(3대) △차량(2대) 연료비 및 통행료 35만 원 △자동차보험 및 세금 7만5000원 △차량 관리·보수비 4만 원 △TV 인터넷 전화료 5만 원 △난방기름 및 주방 액화석유가스(LPG) 요금 10만 원 △각종 세금 10만 원 등이다. 교통비가 많고 난방비는 적다. 이를 모두 더하면 115만5000원이 나온다. 여기에 두 딸의 교육비와 의식주 비용이 추가되어야 한다.
최근 한 증권사 연구소가 낸 ‘은퇴 후 귀농·귀촌에 따른 생활비 절감 효과’란 보고서에서는 농어촌 거주자의 월평균 생활비를 188만 원으로 분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농가소득은 평균 3452만 원, 농가지출은 평균 3026만 원이다. 이것만 봐도 도시인이 귀농·귀촌해서 월 100만 원, 연간 1200만 원으로 생활할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물론 오래전 귀농·귀촌한 이들 가운데 일부는 “시골에서 월 100만 원만 있으면 살 수 있고, 또 그렇게 살아야 한다”고 충고한다. 소득이 적으면 적은 대로 그에 맞춰 사는 법을 터득해야 시골에서의 안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그분들도 다 경험에서 나온 조언이긴 하겠지만 그런 차원에서 본다면 “월 100만 원의 전원생활은 어렵다”는 조언도 새겨 들어주셨으면 한다.
박인호 전원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