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제주]제주공항, 확장이냐 신설이냐

입력 | 2014-10-31 03:00:00

‘인프라 확충’ 공론화 본격 시동
2015년 3월까지 지역 - 직종별 설명회
도민 갈등 최소화 - 의견수렴 박차




제주시 제주국제공항이 항공기 이착륙이 수없이 이뤄지면서 포화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주도는 공항 인프라 확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존 공항 대폭 확충, 제2공항건설 등 2개 안을 놓고 설명회를 갖고 있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제주지역 공항인프라 확충 방향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제주도는 27일 제주시 연동 농업인회관에서 한국유기농업협회 직원들에게 공항 인프라 확충 방안을 설명했다. 도는 읍면동 단위는 물론이고 이처럼 직종별 설명회까지 개최하는 등 전방위적으로 설명회에 나서고 있다. 부산 대구 등 5개 시도가 영남권 신공항 조기 건설을 위한 공동대응에 나서는 상황에서 도민 여론이 갈리면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이 어렵게 될 것을 우려한 조치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제주 항공수요 조사 결과 제주국제공항이 2018년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최근 ‘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1년 동안 용역을 거쳐 최종 대안을 확정한다. 제주도는 최종 대안 확정 이전인 내년 3월까지 설명회를 진행해 하나로 모아진 도민 의견을 중앙정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 2개 방안으로 압축

현재 공항인프라 확충 방안은 기존 공항 확장, 제2공항 건설 등 2개 안으로 압축됐다. 기존 공항 확장은 현 제주공항의 북쪽 바다를 매립해 활주로를 추가로 건설하는 방안이다. 도심 접근성이 양호해 관광 인프라·산업·의료·국제 업무 등과 연계한 공항개발이 가능하다. 신공항 건설을 위한 후보지 선정에 따른 갈등과 개발로 인한 환경파괴 최소화가 장점이다. 반면 새로 건설할 때보다 수용할 수 있는 항공편이 적고 해안 매립에 따른 막대한 공사비와 어업피해 보상, 이주민 발생 등은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제2공항 건설은 기존공항을 운영하면서 새로운 공항을 건설하는 안이다. 기존 공항 활주로 추가 건설로는 2040년 이후 또다시 공항 포화상태가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 때문에 제시됐다. 제2공항은 에어시티의 개념으로 공항 주변 복합도시 개발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고도제한 영향이 적고 비행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다. 소음으로 인한 영향권과 민원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는 장점도 있다. 이에 반해 기존공항 확장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공사비와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제주도 박홍배 교통제도개선추진단장은 “2개 안 가운데 하나의 안을 선택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 나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2개 안의 장단점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하늘길 막혔지만 빨라야 2030년 해결

국토부는 내년 10월까지 2개 안의 타당성을 분석해 하나의 방안을 결정하지만 공항 인프라 확충 사업이 착수되기까지는 적잖은 시간이 걸린다. 인프라 확충 방안이 결정된 이후 예비타당성 조사(2016년), 기본계획(2017년) 및 실시설계 수립(2018∼2019년)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2020년 본격 착수된다. 새로운 공항을 짓는 데 공사기간이 7∼10년이 소요될 것을 감안하면 정상적으로 추진해도 2030년에야 공항 문제가 풀린다. 공항 포화상태로 인한 손실은 2025년까지 6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기 때문에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은 서둘러 결정되어야 한다는 게 제주지역 여론이다.

제주권 공항인프라확충 범도민추진협의회 현승탁 공동대표는 “실제 느끼는 공항 포화상태는 각종 연구 보고서보다 훨씬 심각하다. 이해관계가 엇갈릴 수밖에 없지만 얼마나 빨리 ‘한목소리’를 내느냐에 따라 제주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최적의 방안을 만드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