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광화문에서/김상수]세월호의 아쉬운 장면들

입력 | 2014-11-05 03:00:00


김상수 사회부 차장

참 힘들고 어려웠다. 여야 세월호 특별법 합의안이 만들어지고 유가족이 동의하기까지 200일 걸렸다.

하지만 아직도 갈 길은 멀다. 유가족 보상 절차가 합의되지 않은 데다 세월호 인양의 ‘인’자도 입 밖에 꺼내기 어려운 상황이다. 여야 합의안에 따라 진상조사위원회가 꾸려지면 그 활동기간이 1년 반∼2년에 이른다. 이명박 정부가 ‘광우병 사태’로 대통령 임기를 허송세월한 것처럼 박근혜 정부도 임기 내내 ‘세월호 이슈’에 발목 잡힐 가능성이 높다.

그동안 사건담당 데스크로서 많은 대형사고를 겪어봤다.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이어 이번 세월호 참사까지…. 모두 100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일들이었다. 현장 기자들이 “선배는 ‘재난 전문 데스크’”라고 농담할 정도였다. 많은 대형 사건 사고 가운데 이번 세월호 참사가 가장 안타깝고 참기 힘들었다. 어린아이가 많이 희생됐기 때문만은 아니다. 어른들의 못난 싸움이 꼴 보기 싫었다. 다들 ‘너희들은 못 믿겠다’고 했다. 이런 불신감이 갈등을 부추겨 나라가 둘로 갈렸다. 상호 신뢰가 무너진 건 밑바닥에 진정성이 없었기 때문이다. 여기 그걸 보여주는 몇 가지 장면이 있다.

①사고 직후 정부가 진도체육관과 팽목항에서 유가족들에게 일대일로 전담공무원을 배치하지 않은 것이다. 천안함 사건이 터진 뒤 본보를 비롯한 여러 언론에서 대형 재난을 당한 유가족들의 집단 트라우마(정신적 외상)를 막기 위해 전담공무원제를 제안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를 무시했다. 사고 직후 세상이 무너져 내린 유가족들이 정보 하나를 얻기 위해 이리 뛰고 저리 뛰었다. 수색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시신이 확인되면 어떤 절차를 밟아 인수해야 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해 분통을 터뜨렸다. 기껏해야 하루 한두 차례의 브리핑이 전부였다. 전담공무원이 옆에서 보살피며 유족들에게 필요한 것들을 제공했다면 유가족들의 감정도 누그러졌을 것이다. 정부는 뒤늦게 판교 환풍구 사고가 터진 뒤에야 전담공무원을 뒀다.

②새누리당 국회의원들이 세월호 유가족을 만나려는 성의조차 보이지 않은 것이다. 정치적인 계산이 있건 없건, 그래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은 꾸준히 유가족들과 만나고 대화하며 소통했다. 말을 들어준 것이다. 안산이 지역구라 자주 안산 빈소와 진도에 모습을 비친 김명연 의원을 제외하고 새누리당 누구도 유가족들을 개인적으로 따로 만났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

③올해의 유행어 “내가 누군지 아느냐”를 히트시킨 ‘세월호 유가족 대리기사 폭행 사건’의 김현 새정치연합 의원이다. “세월호 유가족이 폭행하는 걸 못 봤다”고 구차한 변명을 하는 대신에 나라면 차라리 이랬겠다. “유가족들은 아무 잘못이 없다. 다 나 때문에 생긴 일이니 내가 모든 책임을 지겠다.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 얼마나 쿨한가. 그랬다면 사태가 그렇게 번지지 않았을 것을….

④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로 들어갈 때 농성 중이던 세월호 유가족들을 매정하게 외면한 것이다. 유가족 50여 명은 ‘대통령님 살려주세요’ ‘약속 지키세요’라고 외쳤지만 박 대통령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손을 한 번 잡아주거나 잠시 대화라도 나눴더라면…. 이 일이 있은 뒤 세월호 유가족들은 박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을 접었다. 3일 본보 기자가 청와대 앞에서 만난 유가족들은 “언제든 만나러 오라던 대통령을 70일 넘게 못 만났다. 우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 인정받지 못한 거다. 이제 청와대로 안 가겠다”고 했다.

이미 쏟아진 물을 어떻게 주워 담겠는가. 하지만 위의 장면들이 바뀌었다면 유가족들과 국민이 그렇게까지 분노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못내 아쉬워서 하는 말이다.

김상수 사회부 차장 ss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