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근택 교수 ‘끝없는 내일’전
산수화는 동양미술의 핵심으로 이상 세계를 표현한 작품들이 많다. 하지만 동양화의 현실화 작업을 해온 유근택 작가는 서구의 댐 기술로 만들어진 인공호수에 서양 문화의 아이콘들이 떠다니는 산수화를 “21세기 진경산수”라고 그려 보였다. ‘산수, 어떤 유령들’. OCI미술관 제공
일상이 돼버려 새로울 것 없는 이미지들이 한국 산수화에 등장했다. ‘일상에 잠복한 기이한 낯섦’을 수묵으로 포착해온 유근택 성신여대 동양화과 교수(49)는 “조선시대 겸재 정선이 진경산수를 그릴 때의 태도와 다르지 않다”고 했다. 중국의 관념적 산수 대신 ‘지금’ ‘여기’의 실경에 주목한 정선처럼 그도 21세기 한국의 진경에 충실했다는 뜻이다.
다음 달 28일까지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OCI미술관에서 열리는 ‘끝없는 내일’전에 나온 그의 ‘산수’ 연작 10점은 동양화의 현대화, 좀 더 정확히는 ‘현실화’라는 스스로 출제한 문제에 대해 가로 2.7m, 세로 1m 크기의 한지에 수묵으로 써낸 답들이다.
‘산수, 어떤 유령들’에선 앤디 워홀의 ‘메릴린 먼로’와 황금빛 맥도날드 로고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같은 서구 문명의 아이콘들이 홍수처럼 밀려온다. ‘산수, 떠내려온’에는 고전적 산수화 속 호젓한 고깃배 대신 가구와 변기와 빨래 건조대 같은 온갖 집기들이 가득 실려 있다. 이것이 작가가 바라본 한국 사회의 ‘진경’이다.
386세대인 작가는 “걸개그림이 아니면 미술로 쳐주지도 않던” 민중미술의 시대에 ‘개인’과 ‘일상’에 주목해 파란을 일으켰다. 할머니의 얼굴이나 어린애 장난감으로 어질러진 거실, 샤워하는 모습 등 집안 풍경을 주로 그려온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시선을 바깥 사회로 돌렸다.
두런두런 말소리가 들릴 듯한 유근택의 ‘말하는 벽’. OCI미술관 제공
그런데 지금 이곳에 집중한다면서 왜 동양화여야 할까. “화선지와 먹이 아니면 시간성과 공간성을 표현하기 어렵다”는 것이 작가의 대답이다.
이진영 기자 eco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