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원 정치부 차장
주한 미국대사 없이 한국 현대사의 주요 장면을 설명하기 쉽지 않을 때가 있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1979년 12·12쿠데타와 이듬해 5월 ‘광주의 봄’ 당시의 윌리엄 글라이스틴, 1994년 1차 북핵 위기와 지미 카터 방북 당시의 제임스 레이니 대사 등…. 한국의 주요한 외교안보 정책은 물론이고 내정(內政)에까지 영향을 미쳐 ‘사실상 총독(總督)’이라고 불리던 때의 이야기다.
미국대사는 거물급 정무형이 맡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깬 사람은 캐슬린 스티븐스 대사(2008년 9월∼2011년 10월)였다. 1970년대 평화봉사단 시절 사용했던 ‘심은경’이라는 한국 이름으로 한국인들의 마음속 깊이 파고들어갔다.
3년 재임 기간에 누구보다 더 한국 사람을 많이 만났고 두 발에 땀이 나도록 현장을 찾았지만 종종 “주한 미국대사가 보이지 않는다”는 평가가 나올 때 답답함을 토로했다고 한다. 특히 모 일간지의 ‘미국대사의 실종’이라는 칼럼에는 문자 그대로 대로(大怒)했다는 후문이다.
최연소(41세) 미국대사로 버락 오바마 대통령 ‘절친’으로도 유명한 마크 리퍼트 대사의 첫 30일은 경쾌해 보인다. 떠듬거리는 한국어지만 노력하는 모습에서 후한 점수를 얻고 있고 ‘실세’이면서도 겸손한 모습이 ‘착하다’는 인상을 주는 모양이다. 수능일, 김장 담그는 날 등 한국인들의 감정샘을 자극할 수 있는 날은 절대로 놓치지 않고 맞춤형 메시지를 던진다.
최근 그를 조우한 동료 차장도 “식사 중인 상황인데도 간단한 인사말을 건네는 순간 자리에서 일어나 답변하는 모습이 좋아 보였다”고 소개했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한 이제부터가 본격적인 시작이라고 본다. 아무리 ‘트위터’를 활발히 하고, 야구장을 찾아 일반 시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한다고 해도 외교의 본질적인 부분이 다 채워지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옛날 개념으로 따지면 ‘소년대사’ 리퍼트를 맞으면서 그가 보여줄 수 있을 정치적 무게감 때문에 기대감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다. 환갑을 막 지나며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한미동맹에 새로운 활력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다.
제로섬 게임이 아니라지만 한중이 밀월로 가면서 한미관계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청바지 차림에 애견을 끌고 산책하는 친근한 이웃 청년의 이미지에 머물기보단 특명전권대사로서의 존재감을 입증해야 할 때가 생각보다 빨리 올 수도 있다. 일 잘하는 대사 리퍼트를 보고 싶다.
하태원 정치부 차장 triplet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