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성원 산업부 차장
기술과 연구 개발 인력의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단지 이 회사만의 문제가 아니다. 제조업과 정보기술(IT) 분야 대부분의 국내 중소기업이 안고 있는 난제다.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인력 통계는 이런 현실을 뒷받침한다. 지난해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적정 인원보다 모자라는 인력 비율)은 근로자 500명 이상 대기업이 0.6%인 데 비해 300명 미만 중소기업은 3.3%나 된다.
그런데 문제가 하나 더 있다.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우수한 인재들이 정작 대기업을 가려고 해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한정된 대기업의 채용 문을 통과하기 위해 취업 재수, 삼수를 하는 청년들이 넘친다.
산업연구원은 이런 고급 기술 인력을 자연스럽게 중소기업으로 돌리는 방향으로 정부 고용 정책을 바꿔 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중소기업의 기술 개발 성과를 연구자에게 일정 부분 귀속시키는 ‘직무 발명 보장제도’ 도입이 한 예다. 중소기업과 정부, 근로자가 분담해 적립한 돈을 나중에 장기 재직 근로자에게 주는 금융상품을 만들 수도 있다. 정부가 추진하려는 직업학교인 ‘고등전문대학’ 신설도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중 하나다.
그러나 정책 변화보다 더 시급한 것은 중소기업계의 자구 노력이다. 실제로 이미 산업 현장에는 많은 시도가 나오고 있다.
기계 설비 생산기업 Y사는 과거에 K사와 비슷한 어려움을 겪었다. 이 회사는 몇 년 전부터 아예 자체 기술 교육 기관을 설립해 인력을 충원해오고 있다.
구직자의 눈높이와 현실이 다른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기술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묘안은 당장 없다. 그렇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만도 없다. 아쉬운 쪽은 중소기업이다. 정책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도 필요하지만 중소기업 스스로 고급 인력을 끌어들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주성원 산업부 차장 sw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