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평창 올림픽, IOC 우려 잠재울 대안 갖고 있나

입력 | 2014-12-09 03:00:00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018년 평창 겨울올림픽의 썰매 종목(봅슬레이 루지 스켈리턴)을 한국 이외의 장소에서 치르는 방안을 제안했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최근 “8일 개막한 IOC 총회에서 ‘어젠다 2020’이 확정되면 2018년 겨울과 2020년 여름, 각기 올림픽을 치르는 한국과 일본이 일부 종목을 분산 개최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어젠다 2020’이란 바흐 위원장이 추진하는 개혁안으로 분산 개최, 유치 과정 간소화, 경기 종목의 탄력적 운영 등이 골자다. 구닐라 린드베리 평창 올림픽 조정위원장은 분산 개최와 관련해 “후보지 12곳의 명단을 다음 주 전달할 것이며 최종 결정은 평창 올림픽 조직위에서 할 일”이라며 “결정 시한은 내년 3월”이라고 못 박았다.

평창이 3수 끝에 겨울올림픽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경기장 미비 문제는 충분히 예상됐지만 느닷없이 분산 개최 문제가 불거진 배경에는 우리 측의 준비 부족과 조직위의 부실 운영으로 빌미를 제공한 측면이 있다. 미국의 시카고트리뷴지는 ‘이제 와서 IOC가 평창 올림픽 준비 상황을 우려하게 된 것은 시설 건립비를 놓고 벌어진 한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갈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강원도와 평창올림픽조직위, 문화체육관광부가 준비 과정에서 마찰음을 냈다.

최근 대규모 스포츠 행사는 주최 측에 막대한 빚을 남기기 일쑤다. 러시아는 사상 최대인 54조 원을 들여 2014 소치 겨울올림픽을 치렀으나 기대했던 경제 효과는 실종됐다. 인구 30만 명의 일본 나가노 시는 1998 겨울올림픽을 개최하면서 경기장 신축에 과다한 비용을 사용해 11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열린 인천 아시아경기에도 국비를 포함해 2조2956억 원이 투입됐다. 이 가운데 인천시가 부담한 1조2523억 원은 고스란히 부채로 남게 됐다.

평창 올림픽의 경우 썰매 경기가 열리는 슬라이딩센터 등 경기장 6곳의 건설비용을 포함해 11조8000억 원의 총 사업비가 소요된다. 대회가 끝나면 경기장 운영 유지비만 연간 1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와 평창 올림픽 조직위는 “신설 경기장이 모두 착공된 데다 국민 정서상 일본과의 분산 개최는 수용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올림픽 유치가 ‘승자의 저주’로 돌아오지 않기 위해서는 평창 올림픽이 경제적 측면에서도 성공한 대회가 될 수 있도록 다각도로 고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