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되돌아 본 2014]엄마 3인 눈물에 비친 사건사고

입력 | 2014-12-29 03:00:00

2014년 한해 눈물 마를 새 없었던, 어머니
리조트 붕괴, 세월호 침몰, 軍 가혹행위… 가슴 무너졌던 3인
“울지 않을게, 무너지지 않을게, 엄마가 곁에 있을게”




《 2014년 대한민국 어머니들의 가슴은 시퍼렇게 멍들고 검게 타들어 갔다. 각종 사건사고에 눈물은 마를 새가 없었다. 2월 경주 리조트 체육관 붕괴로 새내기 대학생이 희생되고, 4월엔 세월호 침몰로 수학여행 가던 청소년들이 참변을 당했다. 나라를 지키라고 보낸 씩씩한 아들은 멍투성이 주검으로 돌아왔고, 총기난사 사건의 희생자가 된 아들도 있었다. 영원히 아물지 않을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어머니 3명을 만나봤다.

경북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로 중상을 입은 장연우 씨는 비싼 옷을 사주면 “나는 아직 어려서 이런 것 필요 없다”며 도리어 화를 내던 속 깊은 딸이었다. 단원고 2학년 정차웅 군은 밥상에 앉아 학교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엄마에게 조잘대곤 했다. 윤승주 일병은 엄마가 39세에 얻은 늦둥이 외동아들이었다. 2014년 국민을 분노와 슬픔에 빠뜨렸던 사건·사고의 희생자들이다. 이들 앞에 그 누구보다 아파했을 이는 바로 어머니다. 가족과 행복한 시간을 보낼 세밑도 이들에겐 아픔과 고통의 나날일 뿐이다. ‘고통을 어떻게 이겨 내고 있느냐’는 질문에 어머니들은 이렇게 되물었다. “새해엔 우리도 웃을 수 있을까요?” 》

▼ 2월 17일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장연우 양 10개월 간병 이정연 씨

경주 리조트 붕괴 사고로 중상을 입은 장연우 씨의 어머니 이정연 씨가 23일 통증에 몸부림치는 딸의 손을 잡고 고통이 사그라지기만을 묵묵히 기도하고 있다. 김미옥 기자 salt@donga.com

내 아이가 무너진 지붕과 눈 더미에 깔려 있을 것만 같았다. 2월 17일 오후 11시 TV에서 경북 경주 마우나리조트 체육관 붕괴 소식을 접하고 이정연 씨(53)는 끔찍한 확신에 사로잡혔다. 엄마의 직감은 무섭도록 정확했다. 그날 이후 306일 만인 19일 병실에서 만난 이 씨의 딸 장연우 씨(20·부산외국어대)는 진통제를 맞은 지 5시간 만에 다시 고통을 호소했다. 새빨개진 얼굴을 감싼 두 손 사이로 눈물이 흘렀지만 엄마가 들을까 걱정하는 딸은 소리 내어 울지도 못했다.

사고 이후 엄마 이 씨는 한시도 연우 곁을 떠날 수가 없었다. 골반뼈와 넙다리뼈에 쇠를 박아 고정하는 한편 동상으로 괴사한 피부를 떼어 내고 이식했다. 열이 40도까지 오르는데도 연우는 이틀에 한 번꼴로 7, 8시간씩 수술을 받았다. 그렇게 지금까지 받은 수술이 28번. 조직을 떼어 낸 피부를 소독하는 것도 엄청난 고통이었다. 가장 강하다는 진통제도 소용이 없었다. 무엇보다 가족이 옆에 없으면 연우가 불안해했다. 창문이 바람에 덜컹거리면 “건물이 무너지는 것 아니냐”고 비명을 질렀다.

10개월의 병원 생활 동안 이 씨도 많이 아팠다. 두 달 넘게 매일 울면서 지냈다. 심한 스트레스로 잇몸 신경도 마비됐다. 서서 연우를 간호한 탓에 다리도 부어올랐다. 몸과 마음이 말라 버린 엄마지만 아픈 딸에게서 희망을 얻는다고 했다. 옆으로 돌아누울 수도 없고 병실 바깥으로 나갈 수도 없었지만 연우는 “꼭 나아서 학교로 돌아갈 거야”라고 말했다.

“휠체어만 타도 소원이 없겠어요.”

엄마의 새해 소망이다. 재활치료를 받아 다시 일어서고, 연우가 공부를 마치기를 간절히 바란다. 병원 생활의 어려움을 설명할 때도 담담하던 이 씨는 자신이 바라는 딸의 미래를 언급하는 대목에선 목이 메어 말을 잇지 못했다.




 4월 16일 세월호 참사… 차웅이 가슴에 묻은 김연실 씨

‘차웅이 엄마’ 김연실 씨가 세월호 참사 열흘 전 막내아들 고 정차웅 군과 함께 밝게 웃고 있다. 차웅이는 엄마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가족과 함께 패밀리레스토랑을 찾았다. 김연실 씨 제공

부엌에서 설거지를 하다 막내아들을 불렀다. 저녁에 끓일 된장찌개에 넣을 두부를 사오라고 했다. 답이 없다. TV 소리가 크다. 화면에 빨려 들어갈 듯이 집중하고 있을 아들의 얼굴이 떠올라 피식 웃었다. 거실을 향해 더 크게 아들을 불렀다. 그래도 답이 없다. ‘아차’ 하는 순간 다리에 힘이 풀려 주저앉았다. 딸같이 살갑던 아들은 이제 없다. 습관처럼 아들 이름을 부른 입이 원망스러워 아랫입술을 꽉 깨물었다. 터져 나오는 눈물을 삼키려 서둘러 다시 일어서서 접시에 묻은 거품을 닦아 냈다. 무너질 수는 없다. 자식을 먼저 보내고도 살아야만 하는 엄마의 몫이다.

김연실 씨(46)의 막내아들 경기 안산 단원고 2학년 고 정차웅 군(17)은 세월호 참사 당일(4월 16일) 가장 먼저 사망자로 확인됐다. 입고 있던 구명조끼를 벗어 친구들을 구하고 남은 친구들을 찾으러 배 안으로 들어갔다가 정작 자신은 구명조끼도 입지 못한 채 시신으로 발견됐다.

막내아들을 잃은 김 씨의 삶은 송두리째 변했다. 먼저 이름을 지웠다. 사람들은 김 씨를 ‘차웅이 엄마’라 부른다. 올해 10월 다니던 직장도 그만뒀다. 전국을 돌며 더 많은 사람이 아이들의 억울한 죽음을 기억할 수 있도록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길바닥에서 비닐 한 장 깔고 노숙도 하고 억울하다고 소리도 쳐 봤다. 그러면서도 ‘의로운 차웅이’의 이름에 걸맞은 엄마가 되기 위해 사소한 교통법규 하나라도 어기지 않을까 몸가짐에 신경 썼다. 차웅이 엄마의 마지막 소원은 차웅이를 비롯한 단원고 학생들이 의사자로 지정되는 것이다. 아이들의 의로운 행동을 증명할 직접적인 증거가 없고 생존자들의 증언이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 때문에 의사자 지정은 미뤄지고 있다. 21일 단원고 생존 학생 박모 양(17)이 사고 트라우마 때문에 자살을 기도한 가운데 차웅이 엄마는 조심스럽다. 그래도 말한다. “엄마로서 자식에게 해 줄 수 있는 마지막 일이에요. 죽음의 문턱에서도 친구를 먼저 생각한 아이들의 의로운 행동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어요.”




4월 7일 軍내 폭행 사망… 윤 일병 위해 나선 안미자 씨


엄마의 손길을 아들은 아는지. 윤승주 일병의 어머니 안미자 씨가 23일 영정 사진이 돼 버린 아들의 부대 배치 후 기념사진을 정성스레 어루만지고 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아들은 전화기 너머로 한숨만 쉬었다. “엄마, 내일 오지 마. 훈련 가야 해.” 갈비찜을 푸짐하게 준비했던 엄마는 하는 수 없이 첫 면회의 기대를 접었다. 4월 4일 이 통화가 아들과의 마지막 대화였다.

이틀 뒤인 6일 군에서 전화가 왔다. “윤승주 일병이 음식을 먹다 목에 걸려 병원으로 가고 있습니다.” 병원에서 만난 아들은 온몸이 멍투성이에 성한 곳이 없었다. 아들은 그 상태에서 눈도 떠보지 못하고 하루를 더 버티다 세상을 떴다. 3개월 반이 지나 민간단체인 군인권센터에서 윤 일병이 3월 3일부터 일주일을 빼고는 매일 폭행과 가혹 행위를 당했다는 내용의 수사 기록을 공개했다.

“내가 조금만 더 현명했더라면… 면회를 갔더라면….” 23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윤 일병의 어머니 안미자 씨(59)는 손수건을 꺼내 눈가로 가져갔다. 아들이 어떤 일을 당했는지도 모르고 장례를 치르고 아들을 때린 선임들을 용서하기로 마음먹었던 자신이 후회스러웠다고 했다. “구타 사실은 알았지만… 그런 악마 소굴에 있었으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어요.”

아들이 맞아 죽었는데 군이 보인 태도는 안 씨로서는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웠다. 8월까지 재판이 진행되는 동안 수사기록도 보여 주지 않았고, 현장검증에서도 가족을 배제했다. 여론이 들끓은 뒤에야 군 검찰은 상해치사에서 살인죄로 공소장을 변경했다. 그러나 10월 군 법원의 1심 판결은 살인죄가 아닌 상해치사죄를 인정했다. 이모 병장(26) 등 가해자들이 흉기가 아닌 손과 발로 때렸고, 윤 일병을 병원으로 옮겼기에 살인의 미필적 고의(적극적인 살해 의도는 없었더라도 ‘죽어도 상관없다’는 의사)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윤 일병 폭행 사망 사건이 알려진 뒤 어머니는 여러 번 기자회견을 했지만 매번 실명과 얼굴 공개를 꺼렸다. 윤 일병의 두 누나와 다른 가족이 받을 상처를 생각해서다. 그러나 29일 항소심 재판날짜가 잡히면서 더이상 숨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군이 사건을 은폐·축소하려 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어요. 내 아들의 죽음으로 군내 가혹행위가 조금이라도 줄어든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계속 문제 제기를 할 겁니다.”

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   
박성진 기자 psjin@donga.com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