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서울역의 모습. 개찰구에서 역장이 표를 검사하지 않는 점이나 일일이 표 검사를 하지 않아도 전자단말기로 승객 자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많은 외국인들이 놀라워한다. 동아일보DB
가와니시 히로미
버스 정류장마다 10개 이상의 버스가 멈춘다. 몇 대가 동시에 도착할 때가 많은데, 버스는 정류장에 바로 서는 게 아니라 뒤나 앞에 정차하는 일이 많다. 그때마다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종종걸음으로 달려간다. 처음에 그런 모습을 봤을 때는 의아했지만 그렇게 달리지 않으면 승차할 수 없다는 것을 이내 알았다. 노인들에게는 굉장히 어려울 것 같다. 이제는 나도 나름의 요령이 생겼다.
지하철과 KTX는 상대적으로 편하게 승차할 수 있다. KTX를 탈 때마다 개찰구가 없다는 점이 신기했다. 처음 탔을 때는 개찰구를 찾아 우왕좌왕하다가 결국 열차에까지 들어갔다. 마음은 계속 불안했다. 일본의 신칸센처럼 차 안에서 차장이 티켓을 확인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줄곧 티켓을 손에 들고 기다렸다. 그러다가 어느새 목적지에 도착했다. 부정 승차로 오해받을까 봐 고민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차장이 좌석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단말기를 갖고 있다고 들었다. 역시 정보기술(IT) 선진국이라며 감동했다. 개찰구가 없이 편하게 승차할 수 있다는 점은 특히 시간이 없을 때 편리할 것 같다.
일본에서도 이용객의 매너를 계몽하는 포스터나 스티커가 곳곳에 붙어 있다. 예를 들면 차내에서 큰 소리로 떠들지 말 것, 다리를 쩍 벌리고 앉지 말 것, 신문을 크게 펼쳐서 읽지 말 것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시대상을 반영해 새로운 문구들이 늘었다.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지 말 것(일본에는 아직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어서 선로에 떨어질 위험이 크다), 여행용 가방을 운반할 때 주변을 살펴달라는 것 등이 그러하다.
그 밖에도 별별 주의사항이 다 있다. 취해서 의자에 누워 자지 말 것, 지하철 안에서 화장을 고치지 말 것 등. 비 오는 날 젖은 우산의 취급 방법까지 시시콜콜한 내용도 있다. 차 안에서 음식물을 먹지 말라는 당연한 내용까지 주의를 주는 걸 보면 에티켓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늘었다는 뜻인지 모르겠다.
한국에서 지하철을 탈 때 ‘뭔가 내부 분위기가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게 무엇인지 최근에 깨달았다. 낮 시간대에는 샐러리맨을 거의 보지 못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통근 시간대는 물론이고 낮에도 넥타이를 매고 비즈니스 정장을 입은 직장인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나이 든 노년층과 학생들만 많았다. 다른 노선을 탔을 때도 큰 차이는 없었다.
나름대로 이유를 생각해 보았는데, 첫 번째는 직장인들이 모두 비즈니스 정장을 입는 것이 아니어서인 것 같다. 회사에 따라서는 넥타이를 꼭 매지 않아도 되고 캐주얼한 복장으로 출근해도 되는 회사가 일본보다 훨씬 많은 것 같다. 한번은 운동기구 회사를 방문했는데 근무하는 직원들이 대부분 캐주얼 복장을 하고 있어서 놀랐던 적이 있다.
만성 교통체증이나 차량 배기가스에도 영향을 줄 것 같다. 친구 차로 교외에 놀러 갔다가 서울로 돌아오다 보니 서울에 가까워질수록 하늘이 점점 침침해 보였다. 편리함 대신에 푸른 하늘을 잃는 건 아닐까.
반대로 일본의 젊은이들은 차에 관심이 없어진 지 오래다. 경기가 나쁜 것이 가장 큰 이유지만 ‘꿈이 없는 것’도 이유 중 하나라고 본다. ‘자동차를 갖고 싶다’ ‘좋은 차를 타고 싶다’는 인간의 욕망은 ‘뭔가 해보자’는 의지의 원동력이 된다. 예전에는 일본 사람들도 그런 마음이 있었다. 긴 불황의 터널에서 간신히 벗어날 조짐도 보이긴 하지만 침체 분위기에 익숙해진 일본 젊은이들은 점점 소극적으로 변하는 것만 같다.
: : i : :
가와니시 히로미 씨는 한국에서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일본 주부다. 한국에서 산지도 3년째에 접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