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히로미의 한국 블로그]한국인의 지극한 자동차 사랑

입력 | 2015-01-02 03:00:00


KTX 서울역의 모습. 개찰구에서 역장이 표를 검사하지 않는 점이나 일일이 표 검사를 하지 않아도 전자단말기로 승객 자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많은 외국인들이 놀라워한다. 동아일보DB


가와니시 히로미

난 차가 없다. 그래서 버스나 지하철을 자주 이용한다. 지하철도 그렇지만 특히 버스는 노선이 그물처럼 펼쳐져 있어 더욱 편리하다. 시간에 여유가 있으면 여러 노선을 시도해 보는 것도 즐거울 것 같은데, 워낙 버스 수가 많다 보니 엄두가 나지 않는다.

버스 정류장마다 10개 이상의 버스가 멈춘다. 몇 대가 동시에 도착할 때가 많은데, 버스는 정류장에 바로 서는 게 아니라 뒤나 앞에 정차하는 일이 많다. 그때마다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종종걸음으로 달려간다. 처음에 그런 모습을 봤을 때는 의아했지만 그렇게 달리지 않으면 승차할 수 없다는 것을 이내 알았다. 노인들에게는 굉장히 어려울 것 같다. 이제는 나도 나름의 요령이 생겼다.

지하철과 KTX는 상대적으로 편하게 승차할 수 있다. KTX를 탈 때마다 개찰구가 없다는 점이 신기했다. 처음 탔을 때는 개찰구를 찾아 우왕좌왕하다가 결국 열차에까지 들어갔다. 마음은 계속 불안했다. 일본의 신칸센처럼 차 안에서 차장이 티켓을 확인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줄곧 티켓을 손에 들고 기다렸다. 그러다가 어느새 목적지에 도착했다. 부정 승차로 오해받을까 봐 고민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차장이 좌석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단말기를 갖고 있다고 들었다. 역시 정보기술(IT) 선진국이라며 감동했다. 개찰구가 없이 편하게 승차할 수 있다는 점은 특히 시간이 없을 때 편리할 것 같다.

10년 전 내 기억을 더듬어보면, 지하철 탈 때 좀 혼란스러웠다. 지하철이 도착할 때쯤 여기저기서 타려는 사람들이 앞다퉈 승차하는 광경도 보았다. 내리는 사람과 타는 사람이 뒤엉키기도 했다. 최근 몇 년 전부터는 한국 지하철 내 승차문화가 확연히 달라졌다. 이용 에티켓과 관련된 포스터 문구가 많아졌는데, 그 효과 때문일까.

일본에서도 이용객의 매너를 계몽하는 포스터나 스티커가 곳곳에 붙어 있다. 예를 들면 차내에서 큰 소리로 떠들지 말 것, 다리를 쩍 벌리고 앉지 말 것, 신문을 크게 펼쳐서 읽지 말 것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시대상을 반영해 새로운 문구들이 늘었다.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지 말 것(일본에는 아직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어서 선로에 떨어질 위험이 크다), 여행용 가방을 운반할 때 주변을 살펴달라는 것 등이 그러하다.

그 밖에도 별별 주의사항이 다 있다. 취해서 의자에 누워 자지 말 것, 지하철 안에서 화장을 고치지 말 것 등. 비 오는 날 젖은 우산의 취급 방법까지 시시콜콜한 내용도 있다. 차 안에서 음식물을 먹지 말라는 당연한 내용까지 주의를 주는 걸 보면 에티켓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늘었다는 뜻인지 모르겠다.

한국에서 지하철을 탈 때 ‘뭔가 내부 분위기가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게 무엇인지 최근에 깨달았다. 낮 시간대에는 샐러리맨을 거의 보지 못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통근 시간대는 물론이고 낮에도 넥타이를 매고 비즈니스 정장을 입은 직장인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나이 든 노년층과 학생들만 많았다. 다른 노선을 탔을 때도 큰 차이는 없었다.

나름대로 이유를 생각해 보았는데, 첫 번째는 직장인들이 모두 비즈니스 정장을 입는 것이 아니어서인 것 같다. 회사에 따라서는 넥타이를 꼭 매지 않아도 되고 캐주얼한 복장으로 출근해도 되는 회사가 일본보다 훨씬 많은 것 같다. 한번은 운동기구 회사를 방문했는데 근무하는 직원들이 대부분 캐주얼 복장을 하고 있어서 놀랐던 적이 있다.

두 번째로 한국에서는 영업 등 일로 밖에 나갈 때 차를 자주 이용하는 것 같다. 업무 중 지하철과 버스를 탄 적이 거의 없다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즉 한국은 일본보다 훨씬 자동차를 많이 쓰는 사회인 것 같다. 지인이 서울에서 고향인 부산에 갈 때 KTX가 아니라 차로 가겠다고 한 이야기를 듣고 놀랐다. 한국은 일본보다 차로 출퇴근하는 사람이 흔하다.

만성 교통체증이나 차량 배기가스에도 영향을 줄 것 같다. 친구 차로 교외에 놀러 갔다가 서울로 돌아오다 보니 서울에 가까워질수록 하늘이 점점 침침해 보였다. 편리함 대신에 푸른 하늘을 잃는 건 아닐까.

반대로 일본의 젊은이들은 차에 관심이 없어진 지 오래다. 경기가 나쁜 것이 가장 큰 이유지만 ‘꿈이 없는 것’도 이유 중 하나라고 본다. ‘자동차를 갖고 싶다’ ‘좋은 차를 타고 싶다’는 인간의 욕망은 ‘뭔가 해보자’는 의지의 원동력이 된다. 예전에는 일본 사람들도 그런 마음이 있었다. 긴 불황의 터널에서 간신히 벗어날 조짐도 보이긴 하지만 침체 분위기에 익숙해진 일본 젊은이들은 점점 소극적으로 변하는 것만 같다.

: : i : :

가와니시 히로미 씨는 한국에서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일본 주부다. 한국에서 산지도 3년째에 접어든다.

가와니시 히로미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