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을 하면서 주의를 끌지 않는다는 건 쉬운 게 아니야. 자신의 말에 의해 거기에 존재하면서도 들리지는 않는 상태로 머물러 있다는 것은 절묘한 솜씨가 필요한 거라고! ―무의미의 축제(밀란 쿤데라·민음사·2014년) 》
세상에는 말이 많은 사람과 말이 적은 사람이 있다. 자신이 보고 듣고 느낀 것, 때로는 자기 자신에 대해 끊임없이 말하려는 사람이 있는 반면 꼭 필요한 이야기를 할 때를 제외하고는 좀처럼 입을 열지 않는 사람도 적지 않다. 말수가 많고 적음은 사람의 ‘기질’이다. 어떤 모임에 말이 많은 이와 말이 적은 이가 함께 있다고 가정하자. 말하는 걸 즐기는 이에게 입을 다물라 강요한다면 그는 모임 내내 말이 하고 싶어 몸을 배배 꼴 것이다. 마찬가지로 말이 적은 이에게 무엇이라도 말을 하라 부추긴다면 그는 화젯거리를 찾으려 진땀을 흘릴 것이다.
말이 많은 이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 늘 말을 권한다. 말수가 적은 이들이 술자리 등에서 무탈하고 조용히 술과 식사를 즐기고 있으면 테이블 곳곳에서 “말 좀 해요”라는 요구가 이어진다. 말이 적은 이들이 말수가 많은 사람들에게 “말 좀 하지 마세요”라고 이야기하기 쉽지 않은 것을 생각해 보면 수다는 보편적으로 침묵보다 힘이 센 것 같다.
사회 구성원들이 융화하는 데에 서로 흉금을 트고 말을 하는 것만큼 효과적인 방법도 없다. 그렇지만 모든 사람들이 다르델로여야 할 필요는 없다. 세상의 모든 다르델로들에게 원하는 만큼 말을 할 수 있는 자유가 있다면 모든 카클리크들에게도 눈치 보지 않고 침묵할 수 있는 자유가 있어야 한다.
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