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작정 전화 ‘그놈의 목소리’는 옛말… 조직 가담 50대女가 밝히는 수법
2006년 보이스피싱이 처음 등장하고 어느덧 10년이 다 되어 가지만 피해는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증가세다.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경찰청 등에 따르면 2013년 보이스피싱, 파밍, 스미싱 등 전자금융사기 피해액은 792억9300만 원. 2014년엔 상반기에만 445억4000만 원에 달한다.
지난해 7월경 지방 소도시에서 약 일주일간 대출사기 조직에 몸담았다가 불법이라는 걸 깨닫고 도망쳤다는 이모 씨(50·여). 그는 보이스피싱과 대출사기가 끊이지 않는 이유가 “‘걸리면 장땡’ 식으로 무작위로 전화하는 게 아니라 목표를 정하고 분석한 다음 작업에 들어가는 식으로 진화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불법 수집된 신용정보와 대출실적 등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피해자들이 꼭 필요로 하는 것을 정확히 공략한다는 것. 이 씨는 최근 보이스피싱이나 대출사기에서 개인사업자를 노린다고 말했다. 신용등급이 낮은 시민들에게 “한두 달만 거액의 거래 실적을 남겨 신용등급을 높이면 은행 같은 제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다”고 유혹한다. 속아 넘어간 피해자들은 사업자등록증과 인감증명서, 통장과 체크카드를 보낸다. 이렇게 확보한 사업자등록증과 인감증명으로 명의를 도용해 대부업체에서 거액을 대출받는다. 한 시중은행 직원은 “최근 자기도 모르는 새 대출이 이루어졌다며 은행을 찾는 서민들이 늘었다”고 말했다.
최근 보이스피싱과 대출사기단은 과거 중국의 조선족이 가담했다면 지금은 한국인 가담자가 늘어난 게 특징. 20일 부산 금정경찰서에서 적발된 보이스피싱 조직은 서울에 사무실을 두고 있었다. 이 씨는 “보이스피싱은 중국에서 조선족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해 사무실을 찾을 때 의심도 안 했다”고 말했다. 사무실에는 한두 명만이 일하고 폐쇄회로(CC)TV로 감시해 자료를 빼돌리거나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 건 엄두도 못 낸다. 이 씨는 “팀장 지점장 사장이란 사람들이 있었는데 얼굴도 못 보고 전화로만 통화했다”며 “점조직보다 더 작은 단위로 움직이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