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대부업 계열 등 상시점검”
본보 2월 6일자 B1면.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2월 전국 79개 저축은행을 전수 조사한 결과 대부업 계열 저축은행을 포함한 20개 저축은행이 개인신용대출 고객에게 연평균 30.0%의 고금리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20개 저축은행은 고객에게 연평균 24.3∼34.5%의 금리를 적용해 왔다. 세종저축은행의 평균금리가 연 34.5%로 가장 높았고 현대저축은행(33.9%), 스타저축은행(32.4%)의 순이었다. 대부업 계열 저축은행인 웰컴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은 각각 연평균 29.7%의 금리를 받아 왔다.
금감원은 20개 저축은행이 고객의 신용등급에 따라 금리를 차등화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높은 금리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일부 저축은행들은 신용등급이 1등급인 고객에게도 연 30%대의 고금리를 물려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비해 KB, 신한, BS 등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 등 5개 저축은행은 대출자의 신용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금리를 물리고 있었다.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낮은 금리를 적용하다 보니 평균금리도 전체적으로 낮았다. KB저축은행의 경우 연 15.3%로 평균금리가 가장 낮았고 신한저축은행(15.7%), BS저축은행(17.2%), 페퍼저축은행(17.2%), 대신저축은행(18.6%) 순으로 금리가 낮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출 고객들에게 금리를 어떻게 받을지는 저축은행이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지만 금융당국으로서 저축은행들이 원가와 고객의 신용등급에 따라 합리적으로 금리를 정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며 “평균금리가 10%대인 저축은행도 있는 만큼 일괄적으로 30%대의 고금리를 적용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다음 달부터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별 대출취급액과 금리 수준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다. 대부업 계열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3개월에 한 번씩 정기점검을 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저축은행들이 고객의 신용등급별로 금리를 차등화하면 자연스럽게 평균 금리가 낮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