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예방 ‘셉테드’ 구축사업 등 도심 안전기반 확충사업 활발
3월달 ‘지하철 화재참사 재단’ 설립… 4월말까지 민관합동 안전진단도

대구 동구 시민안전테마파크에서 열린 소방안전체험 행사에서 어린이가 소화용 호수 사용법을 배우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 지하철 화재참사는 2003년 2월 18일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불로 192명이 숨진 사고다. 대구시와 대구소방안전본부는 2008년 12월 사고 재발 방지와 시민 안전 교육을 위해 동구 팔공산 자락인 동화사 시설지구에 2만9000여 m² 규모의 시민안전테마파크를 개관했다. 하루 평균 500여 명이 찾는다.
‘안전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기반 확충에도 힘을 쏟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2019년까지 195억 원을 들여 서대구산업단지 1만4000여 m²에 안전융합산업기술지원센터와 시험연구시설을 건립하기로 협약했다. 안전융합산업은 소방과 센서(감지기), 외부 침입 예방 등 생활 안전과 관련한 기술을 적용한 제품 생산이나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나노기술(NT)을 접목해 재난과 재해, 범죄 등의 예방 시스템을 만드는 분야다. 대구시와 KCL은 산업용 융복합 시험인증시설도 건립한다.
지난해에는 셉테드(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설계) 시범 구축사업도 시작됐다. 동구 신서혁신도시와 달성군 테크노폴리스 신도시 아파트 2800여 채에 셉테드 설계를 반영하도록 시공사와 협약했다. 셉테드를 활용한 안전마을 조성사업은 두류1, 2동과 비산7동 일대로 확대된다. 다음 달에는 셉테드 조성 기준을 마련해 건축과 공공디자인에 적용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4월 말까지 시민들이 참여하는 대대적인 안전진단을 추진한다. 민관합동점검과 정밀안전진단, 제도 개선 등이다. 이 기간 하천과 옹벽, 낡은 주택 등 재난 취약 시설을 집중 점검한다. 시민이 생활 주변의 위험 요소를 신고하면 담당 부서가 곧바로 조치하는 안전신문고(safepeople.go.kr)를 운영할 계획이다. 정태옥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시민 스스로 동네 안전지킴이 역할을 하는 시스템을 정착시킬 것”이라며 “올바른 안전 의식이 안전도시 대구의 기초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장영훈 기자 j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