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96돌… 유학생 9명, 러 정보국서 첩보활동
고종 황제
‘한기수와 강한택은 나와 함께 있으며 오운석은 부령, 윤일병은 북청, 현홍근은 노보키옙스크, 구덕선은 종성에 각각 잠입해 있다.’(1904년 9월 러시아 ‘상하이 정보국’ 암호 전문)
1902년 12월 서울 경운궁. 고종은 인사차 찾아온 카를 베베르 전 주한 러시아공사에게 “관립노어학교 졸업생 10명을 러시아 군사학교에 입학시키고 싶다”고 부탁했다. 베베르는 황제의 요청을 받아들였다. 이로부터 2년 뒤 고종이 러시아의 상하이 정보국을 통해 특별히 안부를 물었다는 졸업생은 바로 이들이다. 이때 그들 중 9명은 이미 러시아의 정보요원이 돼 있었다.
최 연구위원의 ‘고종 황제의 독립운동과 러시아 상하이 정보국’ 논문에 따르면 고종이 세운 관립노어학교 졸업생 9명은 러시아 정보기관인 ‘상하이 정보국’에 소속돼 러일전쟁이 발발한 1904년부터 정보요원으로 활동했다. 이들은 함경도와 만주, 노보키옙스크 등에 파견돼 한-중-러 접경지대에서 일본군의 동향을 파악해 보고하는 임무를 맡았다.
▼ 고종, 시종무관 통해 러 상하이정보국과 비밀 교류 ▼
고종의 ‘항일 스파이들’
대한제국 노어학교 출신 9명 등… 만주 등 잠입해 일본군 동향 파악
“고종황제, 그들의 안위 궁금해 해”… 러 정부 비밀문서 연구서 드러나
1904년 당시 러시아의 ‘상하이 정보국’이 있었던 러청은행 건물. 현재는 중국외환거래센터가 들어서 있다.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1904년 4월 러시아 ‘상하이 정보국’을 세운 알렉산드르 파블로프 주한 러시아공사(왼쪽)와 고종의 시종무관으로 함경도에서 첩보 활동을 벌인 김인수.
최근 발견된 1908년 ‘상하이 정보국’ 기밀 보고서.
한-러 정보 협력에 맞선 일본 측의 비밀공작도 치열하게 전개됐다. 주러 일본대사관 무관이던 아카시 모토지로 대령은 제정 러시아 내 반정부 세력과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추진하던 핀란드, 폴란드, 조지아 측에 자금과 무기를 지원했다.
러일전쟁 패전으로 상하이 정보국은 1905년 11월경 일시 해체됐다. 그러나 일본의 간도 침략으로 위협을 느낀 러시아가 새로운 인물인 레프 고이예르 상무관을 내세워 1908년 상하이 정보국을 재건했다. 당시 비밀 문건 중에는 고이예르가 2차 러일전쟁이 일어나면 즉각 한국 의병들에게 무기와 병력을 지원하는 계획을 세운 내용이 들어 있다.
이 무렵 고종의 심복인 이상설이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가 한-러 정보 협력의 대가로 수만 명의 의병으로 구성된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는 방안을 러시아 측과 협의했다. 그러나 이상설의 계획이 러시아의 비협조로 실패하면서 항일의 방식을 놓고 양측의 시각차가 드러난다. 러일전쟁 패배 이후 일본과 화해 국면에 들어간 러시아가 한국의 적극적인 무장 투쟁에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