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수도 한성의 도시구조 계승… 정체성-존재감 과시
충남 부여 나성은 안에 중심 토루를 만들고 밖에 돌을 쌓아 만들었다. 산세를 이용하여 만든 것이 특징이다. 백제역사유적지구 통합관리단 제공
백제는 5세기 말 고구려에 패해 수도 한성(서울)을 뺏기고 급히 웅진(공주)으로 천도했다. 임시 수도였던 만큼 터도 좁고 도성 구조도 적을 막는 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무령왕을 거쳐 성왕에 이르면서 강국으로 부활한 백제는 새 위상에 걸맞은 위대한 수도를 필요로 했다.
부소산과 백마강에 둘러싸인 너른 땅 사비는 방어가 용이했을 뿐만 아니라 강을 타고 바다로 나가 해외 교류에 나설 수 있었고 농사를 짓기에도 적합했다. 마침내 서기 538년 신수도 사비에 도로망과 1만여 채의 집이 짜임새 있게 들어선다.
또 당대 가장 잘나가던 중국 수도들인 남조의 건강성과 북조의 낙양성을 벤치마킹해 새 수도를 단장하면서도 백제식 변형을 가했다. 일례로 사비 나성(羅城·도성과 시가지를 둘러싸 안팎을 구분하고 방어기능을 하는 성)을 들 수 있는데, 나성이라는 개념은 낙양성에서 처음 가져온 것이다. 하지만 백마강을 자연 해자(垓子·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밖을 둘러 파서 만든 못)로 쓰고 부소산 지세를 이용해 성벽을 쌓는 등 나성 건축에 자연 지형을 이용한 예는 중국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시가지 중심에는 국가 사찰인 정림사를 세워 불교가 도성의 정신적 구심점 역할을 하도록 했다. 정림사를 시가지 중심에 세운 것은 낙양성의 영녕사를 모델로 한 것이다.
새로운 수도의 위엄을 뽐낼 수 있도록 도성 내 모든 건축물은 중국의 선진 기술을 흡수하거나 백제 스스로 갈고닦은 건축기술 역량을 총동원해 지었다. 부소산성 성벽은 나무로 만든 틀에 흙을 켜켜이 다져 넣어 강도를 높이는 판축 기법으로 지었고, 습지 등 지반이 약한 곳에 건축물을 올릴 때에는 나뭇가지나 잎을 깔고 흙을 다져 넣는 부엽 공법을 사용했다.
사비 나성에는 판축 기법으로 쌓은 성벽 외부에 돌을 덧대 방어력을 높인 백제 고유의 토심석축 기법이 적용됐다. 이 밖에 여러 사찰과 관북리 왕궁 유적에서 기와를 수평으로 혹은 서로 맞대어 쌓는 독창적인 방식의 ‘와적기단’을 볼 수 있다.
현재 사비도성은 아쉽게도 터전만 남아있다. 하지만 국가중흥의 정신을 바탕으로 설계하고 고도의 건축 기술로 완성한 이곳은 흔적만으로도 한국인에게 영원히 자부심으로 기억될 만하다.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