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주 환경산업기술원장
김 원장은 “국내 환경산업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라며 “이제는 환경업체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든 상황이 됐다. 국내 환경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을 돕는 게 우리 기술원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기술원은 △환경기술 개발 △환경산업 육성 △친환경 제품 인증 등의 업무를 맡고 있는 환경부 산하 기관이다.
국내에 있는 환경산업체는 약 5만 개. 하지만 대부분은 직원 수 10명을 넘지 않는 중소기업으로 연평균 매출액도 대개 20억 원 미만에 불과하다. 고만고만한 업체들끼리 한정된 국내 시장을 놓고 경쟁하다 보니 내수시장에서는 더이상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는 게 김 원장의 설명이다.
기술원은 중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 콜롬비아, 알제리 등 5곳에 해외센터를 두고 있다. 해외센터에서는 폐기물·하수처리, 대기오염 저감시설 같은 현지 환경시설 공사 수요를 조사하고, 국내 기업 참여의 타당성과 수익성 등을 검토한다.
이 같은 기술원의 측면 지원을 받은 국내 업체가 지난해 알제리,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 따낸 환경 관련 사업이 9558억 원 규모다. 김 원장은 “올해 1조2250억 원까지 늘리는 게 목표”라며 “환경은 항상 이런저런 규제로 기업 발목만 잡는 것으로만 비치는데, 규제가 있기 때문에 돈이 되는 환경시장이 만들어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기술원의 적정기술 보급사업 또한 국내 업체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한 것이다. 이 사업은 저개발국에 환경시설을 무상 설치해 주는 것이다. 기술원은 지난해 약 8억 원을 들여 필리핀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베트남에 정수시설과 오폐수 처리장 등을 지어줬다. 김 원장은 적정기술 보급사업은 우리 기술력을 알리면서 동시에 한국에 대한 좋은 이미지까지 심어줄 수 있어 사업 수주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원장은 ‘친환경 위장 제품’에 대한 단속 강화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친환경 제품을 인증하는 기관으로서 국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위장제품에 대한 단속 강도를 높일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종석 기자 wi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