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정출근 130만명 시대]
○ “수도권 교통난보다 지방 출근 선호”
2010년에서 2013년까지 연평균 출근 유입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강원(84%)이었다. 2013년 이 지역으로 출근을 위해 들어간 인구는 이곳에서 다른 지역으로 출근한 인구의 9.2배나 됐다. 강원으로 원정 출근하는 사람들 중에는 이 지역으로 이전한 공공기관 직원이 다수일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기간 강원으로 이사한 공공기관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산림항공본부 등 3곳이다. 지난해 말 기준 공공기관 이전 때문에 강원혁신도시로 이사 간 직원(미혼, 독신자 포함) 중 가족과 함께 둥지를 튼 비율은 약 11.5%에 불과했다.
반면 2013년에 대전에서 타 지역으로 출근한 인구는 대전으로 출근한 인구의 10배나 됐다. 정부청사와 공공기관 등이 이전해 온 세종시가 가까이에 조성되면서 대전에서 세종시 등 다른 지역으로 출근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원정출근족이 늘어난 이유는 그간 KTX 등 광역교통망이 확충됐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으로 이전한 일부 회사들은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어 일부 지역의 경우 ‘출근 지옥’ 수도권에 비해 오히려 출근하기 편리하다. 지난해 수도권에서 세종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에 다니는 이민아(가명·30) 씨는 “회사가 집과 같은 경기도 안에 있을 때는 버스-전철-버스 등으로 환승해야 해 출근하기까지 약 2시간 반이 걸렸다”며 “세종시로 회사가 옮겨간 뒤 출근 거리는 더 멀어졌지만 셔틀버스가 마련돼 출근시간 자체는 큰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공공기관이 이전한 혁신도시의 생활 인프라가 미비한 점도 원정출근족을 늘리고 있다. 관공서, 병원 등을 이용하려면 거리가 먼 경우가 많다. 실제 공공기관이 옮겨간 지역으로 이주한 직원 중 가족과 함께 이주한 직원은 10명당 2명꼴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혁신도시로 이주한 공공기관 직원 중 가족과 함께 이주한 비율은 23.1%였다.
○ 일부 혁신도시들 “출근버스 끊어 달라”
공공기관 이전으로 전세버스 업계는 호재를 맞고 있다. 공공기관들이 전세버스 업체와 계약을 맺고 출퇴근자들을 태기 때문이다. 2013년 말 현재 전세버스 등록대수는 4만2014대로 3년 전(3만5717대)보다 약 18% 증가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부 신도시에서는 지역 활성화를 위해 원정출근족들의 발을 지역에 묶어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세종시다. 세종시 내 시민단체들은 수도권을 오가는 통근버스 운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행정자치부가 수도권∼세종 통근버스를 하반기에 축소할 것으로 알려지자 수도권에서 출근하는 공무원들은 난감해하는 반면 세종시 시민단체들은 반기고 있다.
김수현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세종시가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공무원들이 솔선수범할 필요가 있는데도 다수가 세종시 이외의 곳에서 살고 있다”면서 “통근버스 운행은 세종시 조기 안착에 역행하므로 운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은아 achim@donga.com / 세종=손영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