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시와 공동용역… 2016년 결과보고서가 최대 변수
경기 화성시 서신면, 마도면 주민들이 지난해 3월 화성호 간척지 4공구에 들어서는 한우번식우단지 등의 조성을 반대하며 경기도청 정문 앞에서 시위를 하고 있다. 화성호 지킴이 운동본부 제공
화옹지구를 둘러싼 이해관계와 논란의 중심은 화성호 담수화 문제다. 화성시와 지역주민들은 그동안 제2의 시화호 사태가 우려된다며 담수화 포기를 주장했다. 화성호는 현재 배수갑문을 통해 연평균 2억 t의 해수를 유통시키고 있다. 화성시 관계자는 “2009년 4.9ppm이던 수질(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지난해는 7.4ppm으로 악화됐다”며 “배수갑문을 막으면 목표수질(농업용수)인 4등급(8ppm)을 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013년도 전국 11개 담수호 가운데 남양호 등 6곳이 4등급에 못 미쳤다”며 “전국에서 성공한 담수호는 없다”고 강조했다. 녹조 발생 등으로 수질오염을 초래하는 부영양화 평가지수(TSIko)도 지난해 69.8(상류 기준)로 기준치 50을 넘어 과영양(70 이상) 상태에 이르렀다.
이런 사정에도 불구하고 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해 6월 담수화를 전제로 화성호에서 시화 탄도호까지 관로(15.9km)를 묻어 물(1일 8만1000t)을 보내는 도수로 사업에 착공했다. 2018년까지 340억 원을 투입해 탄도호의 염분 농도를 낮추려는 것이다. 만약 담수화 방침이 바뀔 경우 또 다른 혼란과 예산 낭비가 우려되는 부분이다. 화성시 관계자는 “수질개선 없이 도수로 공사를 먼저 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일단 국회의 중재로 도수로 사업은 중단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내년 하반기에 나올 경기도와 화성시의 공동용역 결과가 화성호 담수화 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최종 권한을 갖고 있는 화성호 수질보전대책협의회에는 경기도와 화성시 인사들도 참여하고 있다.
남경현 기자 bibulu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