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붙은 사드 논쟁] 軍안팎서 효용성 의문 제기… 낙하 마지막 단계서만 요격 한계 “사드 등 다층 체계 구축” 목소리
2020년대 초중반을 목표로 추진 중인 한국형미사일방어(KAMD) 체계의 요격 수단은 장거리지대공미사일(L-SAM·개발 중)과 패트리엇(PAC-3) 미사일, 중거리지대공미사일(M-SAM) 등이다. 이 미사일들의 요격 고도는 15∼70km.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대기권 밖 정점을 지나 낙하 마지막 단계(종말단계 하층방어)로 접어들 때 요격할 수 있다. 지상에 도달하기 직전에야 제거 작전을 펼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1월 당시 유승민 국회 국방위원장이 주관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관련 세미나에서 최봉완 한남대 교수는 “북한의 노동급 탄도미사일에 대한 PAC-3 미사일의 요격 가능 시간이 1초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런 허술한 요격 수단을 갖고서 단 한 발만으로도 서울을 초토화시킬 수 있는 핵미사일을 방어한다는 것은 “위험한 도박”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군 상층부에서도 KAMD 체계 효용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북한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개발 등 핵미사일 위협 증대에 집중하는 상황에서 한국이 ‘종말단계 하층방어’만 고집하는 게 과연 합리적 선택이냐는 지적이다. 군 고위 당국자는 “10여 년 뒤 북한뿐만 아니라 주변국의 탄도탄 위협 대응 차원에서 KAMD보다는 다층방어 체계를 구축하는 게 국익과 안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전역의 탄도미사일이 한국을 향해 발사되기 직전 30분 내 선제 타격으로 제거하겠다는 ‘킬 체인(Kill Chain)’도 기술적으로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북한의 정확한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전면전을 불사하고 대북 선제 타격을 실행에 옮기기 힘들다는 한계도 있다.
일각에선 15조 원 이상이 투입되는 KAMD 체계와 킬 체인보다는 사드와 이지스함 발사용 SM-3 미사일을 도입해 다층요격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낫다는 의견도 있다. 6대의 이동식 발사대와 발사대당 8발씩 총 48발의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는 사드 1개 포대 비용은 2조 원이다. 한국 전역 방어에는 2∼4개 포대가 필요하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