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청구권 자금으로 설립한 철강기업의 역대 정권 잔혹사 영-포라인 집권후 부실 비리 커져 아버지가 육성한 경제발전 상징 기업의 난맥 오래전부터 수사 준비 정치보복 논란은 수사 결과 따라 풍향 달라질 듯
황호택 논설주간
박근혜 대통령은 작년 3월 독일을 방문했을 때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돌아가신 아버지께서 여기 오셔서 아우토반이라든가 제철소를 보면서 고속도로와 제철소를 구상했다”고 말했다. 문제는 돈이었다. 박 전 대통령의 결심으로 1965년 한일협정 타결 후 일본이 한국에 제공한 대일청구권자금 5억 달러 중에서 23.9%에 이르는 약 1억2000만 달러가 포스코에 투입됐다. 박 전 대통령은 1970년 기공식의 발파 스위치를 누를 때부터 1979년까지 포스코를 13번 찾았다. 포스코 역사에서 박태준을 빼놓고 말할 수 없지만 박정희가 아니었으면 포스코의 박태준도 없었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0년 산업은행이 포스코 지분 36%를 매각하면서 정부가 포스코의 지배구조에 관여할 수 있는 권리는 사라졌다. 하지만 이후에도 정권을 잡은 사람들은 오너가 없는 포스코를 전리품처럼 챙겼다. 이상득(SD) 전 국회부의장은 지역구가 포항이고 이명박 정부에서 힘깨나 쓴 영포(영일·포항)라인의 정점으로 역대 어느 정권 사람들보다도 포스코를 꿰뚫고 있었다.
검찰 수사가 본격화하면서 정 전 회장 재임 기간 브라질 인도네시아 투자의 실패, 계열사를 35개에서 70개로 늘린 무리한 인수합병의 배경을 놓고 설왕설래가 오간다. 부채비율 1600%의 부실덩어리 성진지오텍을 인수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한 데도 정권 실세들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포스코는 이상득 박영준의 자원외교도 적극 거들었다. 자원외교 관련 수사는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1부에 배당돼 있다. 이것이 특수2부에 배당돼 있는 베트남 사업 비자금 조성보다 악성이라는 말도 있다.
박영준에게 권력은 짧고 고통은 길다. 파이시티 인허가 비리, 민간인 불법사찰, 원자력발전소 납품 비리로 줄줄이 알사탕 유죄판결을 받고 2년 6개월을 살았다. 정두언 의원은 신동아 3월호에서 대선 당시 “캠프 사람들이 SD한테 지원을 요청하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었다”고 실토했다. 두 사람이 포스코의 비리와 난맥 경영에 어디까지 책임이 있는지는 검찰 수사를 통해 드러날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회고록 출간 타이밍이 안 좋았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청와대는 포스코와 자원외교를 수사하면 칼끝이 어디에 닿을지를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홍준표 경남지사가 문화일보 인터뷰에서 “포스코 수사는 이명박 정부의 핵심세력을 겨냥한 기획수사로 엄청난 비리가 드러나지 않으면 역풍을 맞을 수 있다”며 정치 보복을 경계했다.
부패와의 전쟁은 오래전부터 기획됐으나 세월호와 경제적 고려 등으로 미뤄졌다고 한다. 박 대통령이 김기춘 비서실장을 마지막까지 붙잡아놓고 있었던 일이 사정 준비작업이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민정수석실과 서울중앙지검장 등 사정과 관련한 요직에 TK(대구경북) 출신을 꽂은 인사도 이번 사정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황호택 논설주간 hthw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