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드는 장식용 아닌 투자 대상”
국내에서 처음으로 2013년 8월 서울 중구 신라호텔 1층에 문을 연 다이아몬드 전문 기업 그라프의 매장. 그라프 제공
아르노 바스티엔 대표
영국 다이아몬드 전문 기업 ‘그라프’는 바로 이점을 파고들었다. 최소 수천만 원부터 수십억 원에 달하는 유색 다이아몬드를 장식용 보석이 아닌 부를 증식하기 위한 투자 개념으로 본 것이다. 이런 이유로 그라프의 주요 고객은 전 세계 슈퍼리치들이다. 주요 단골로는 모나코 국왕 알베르 2세의 왕비 샬린 윗스톡을 비롯해 도널드 트럼프, 오프라 윈프리 등이 있다.
10일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만난 아르노 바스티엔 아시아태평양지역 대표는 그라프의 다이아몬드를 티파니, 카르티에 등 보석 브랜드가 아닌 피카소의 그림에 비유했다.
그라프는 2013년 8월 신라호텔 1층에 국내 유일의 매장을 내며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 아시아 시장의 경우 일본, 홍콩, 중국 다음으로 다소 늦게 진출한 셈이다. 현재 그라프는 전 세계 49곳, 아시아 지역에서는 17곳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바스티엔 대표는 한국 시장을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는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표현하며 “대대적인 홍보 활동이 없었기에 다른 국가에 비해 판매 성과가 기대치에 못 미쳤던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그라프가 갖고 있던 ‘탁월한’ 제품들은 이미 한국에서 팔렸다고 덧붙였다.
그라프는 원석 채굴부터 커팅, 폴리싱, 세팅 등 모든 과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날 열린 옐로 다이아몬드 특별 전시회에서 공개된 제품은 옐로 및 화이트 다이아몬드로 제작된 3종류의 세트였다. 그중에서 총 136.16캐럿 다이아몬드로 제작된 목걸이의 가격은 수십억 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뷰 내내 그가 만지작거리던 옐로 다이아몬드 반지 두 개의 가격을 물었다. 하나는 약 20억 원이었고 나머지는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육안으로 보면 비슷해 보이는 두 제품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염희진 기자 salth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