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2010년 4월 인수한 성진지오텍은 부채 비율이 1600%가 넘어 부도 직전에 몰린 ‘깡통 회사’였다. 정준양 전 회장 재임 때 이뤄진 인수합병(M&A) 중 최악의 사례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이 인수 과정에서 저지른 배임 혐의를 수사하고 있다. 당시 경영진을 감시해야 할 포스코 이사회의 의장은 KAIST 석좌교수였던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었다.
포스코가 성진지오텍을 평균 주가보다 2배 이상 높은 1592억 원에 인수하는 과정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당시 안 의원은 임시 이사회에서 인수 안건에 찬성표를 던졌다. 이런 사안일수록 인사권을 쥔 최고경영자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사내이사보다 사외이사가 견제해야 하는데도 나서지 않은 셈이다. 포스코 출신의 한 인사는 “사외이사들은 성진지오텍 인수를 승인하는 이사회에 ‘우정 출연’했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이 포스코의 사외이사로 재직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포스코는 자회사를 43개나 늘렸다.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은 2012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안 의원이 참여한) 안건 235건 가운데 수정 찬성 6건, 반대는 3건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6년간 사외이사로 재임하면서 보수 3억 원가량과 스톡옵션으로 받은 2000주의 포스코 주식을 처분한 차익 4억 원 등 7억 원 가까운 수익을 올렸다. 안 의원은 “절차상 하자 없이 이사회 업무에 임했다”며 2012년 대선 때 이미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이 끝난 사안”이라고 밝혔으나 그때는 포스코의 부실 경영이 드러나기 전이었다.
주요 상장 대기업의 167개 계열사를 조사했더니 사외이사의 이사회 안건 찬성률이 지난해 99.7%에 달했다. 10대 그룹이 올해 주총에서 선임한 사외이사의 40%가 장차관, 판검사 등 권력기관 출신이다. 고무도장 혹은 바람막이로 이용되는 사외이사 제도를 개혁하고 부실 경영을 방치한 사외이사에게는 상응한 책임을 물어야 기업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