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신호 떴네요.”
누군가가 외치자 곧 이어 우레와 같은 박수소리가 이어졌다. 3개의 초대형 멀티비전 우측 상단에 또렷한 글자로 ‘In connect(연결 중)’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됐기 때문이다. 연구원들은 곧 의자에서 일어나 함박웃음을 지으며 주위 사람들과 악수를 나눴다. 우리나라 5번째 실용 인공위성 ‘다목적실용위성3A호(아리랑3A호)’의 발사 성공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 발사 6시간 지나 최종성공 확인
아리랑3A호는 다시 1시간 후인 오전 8시 34분에 북극해 인근 노르웨이 스발바드 기지에서 2차 접속에 성공한데 이어, 오후 1시 3분 경 우리나라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도 접속을 확인하고 발사성공을 최종 확정했다.
최해진 항우연 위성정보활용센터장은 “인공위성의 자세정보 등을 전송받고 모든 기능이 정상이라는 사실을 최종 확인했다”며 “앞으로 6개월 가량 위성의 궤도를 정밀하게 조정하는 과정을 거친 후 실제 운영에 들어가게 된다”고 말했다.
아리랑 3A호는 지름 2m, 높이 3.8m, 무게는 1.1t 정도의 중형 인공위성이다. 태양전지판을 펴면 폭이 6.3m로 늘어난다. 4년간 지구를 하루 15번씩 돌며 밤과 낮, 하루 2차례씩 관측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서 있는 사람 또렷이 식별… 적외선 관측기능도 ‘세계적’
아리랑 3A호는 국내 위성 가운데 처음으로 열을 감지해 촬영하는 적외선 센서도 탑재했다. 야간이나 악천후에서도 탐색이 가능하며 건물에서 뿜어져 나오는 각종 열도 탐지할 수 있어 공장 가동 여부를 알아볼 수 있다. 화산 활동 감시 등 지구탐사 연구에도 쓸 수 있다.
적외선 센서의 해상도는 5.5m로 적외선 우주 카메라 중에선 세계적인 성능으로 꼽힌다. 같은 적외선 탐지 기능을 갖춘 미국의 ‘TSX-5’ 위성의 해상도가 35m, 독일의 버드(BIRD)위성은 370m, 프랑스의 헬리오스가 5~10m 해상도로 지상을 분석한다.
아리랑 3A호의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광학, 레이더, 적외선 등 세 가지 방식으로 한반도를 관측할 수 있게 됐다. 현재 광학 촬영 기능을 갖춘 아리랑 2호를 운영 중이며 아리랑 5호는 전파로 지상을 관측 할 수 있는 ‘영상레이더(SAR)’를 장착하고 있다. 관측 횟수가 늘어나는 것도 큰 장점이다. 수명이 다해 교신이 안되는 아리랑 1호를 제외하면 총 4대의 관측 위성으로 한반도 상공을 매일 6회까지 감시할 수 있게 됐다. 항우연 측은 “아리랑3A호의 발사 성공으로 한국은 광학과 영상레이더, 적외선 감지 위성까지 모든 종류의 지상 관측 위성을 보유한 나라가 된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인공위성 발사를 늘려 높은 관측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다음 위성 발사는 다목적으로 지상을 관측할 수 있는 차세대 ‘정지궤도복합위성’ 두 대가 2018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1기씩 우주로 올라갈 예정이다. 2019년엔 아리랑5호보다 뛰어난 영상레이더 위성 ‘아리랑 6호’ 발사가 예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