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 대통령 이승만은 1950년 3월과 4월 농지개혁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잇달아 공포해 농지개혁을 마무리했다. 소작농이었던 167만여 가구가 자작농으로 변신했다. 전쟁이 터지기 불과 두 달 전 끝난 농지개혁은 당시 한국인의 절대 다수였던 농민들에게 땅에 대한 주인의식을 심어주면서 대한민국 체제에 일체감을 갖게 한 결정적 계기가 됐다.
▷일각에서는 이승만의 ‘유상몰수 유상분배’보다 김일성의 이른바 ‘무상몰수 무상분배’ 농지개혁이 더 성공적이고 진보적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역사적 사실과 배치된다. 남한의 농지개혁은 지주들의 사유재산권을 일부 제한했지만 기본적으로 ‘자유와 시장의 원리’를 존중했다. 남한 농민들은 새로 얻은 농지에 대한 재산권을 행사했다. 농지개혁이 한반도의 적화를 막고 훗날 박정희 정부 시절 산업화의 밑거름이 된 것이다. 반면 북한은 농지개혁 후 최고 40%의 현물세를 물렸고 얼마 뒤 농민의 땅을 모두 빼앗아 국가에 귀속시켰다. ‘지주의 소작인’이 ‘국가의 소작인’으로 달라진 데 불과했다.
권순활 논설위원 shkw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