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권모 소비자경제부 차장
중국 정부는 2013년 부모 중 한 사람이 외동일 경우 자녀를 2명 둘 수 있도록 허용한 바 있다. 지난달 15일에는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전국인민대표대회 폐막식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경제, 사회적 상황을 토대로 찬반 의견을 수렴해 (한 자녀 정책의) 추가 완화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론은 ‘추가 완화’로 날 가능성이 아주 높다.
국내 산업계는 이런 움직임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 특히 국내 경기가 침체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현 상황에서 중국의 변화에 거는 기대가 더 큰 듯하다. 그런데 중국을 잘 아는 사람들은 “실제 효과가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식의 이야기를 한다. 왜 그럴까.
둘째로 출산율이 높아지더라도 쉽게 사라지지 않을 중국의 비관세 장벽을 들 수 있다. 얼마 전 만난 국내 분유업체 관계자는 “중국인들이 외국산 분유를 선호하는 것은 맞지만, 정식 통관 제품에는 중국어로만 표기를 하게 한다”며 “한국 상품이란 사실을 알리기 어려워 골치가 아프다”고 했다. 중국에 우유 음료를 수출하는 한 회사 관계자는 “가끔 중국 세관이 별다른 이유 없이 통관을 지연시켜 유통기한이 지나기 일쑤”라고 했다.
이철용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인민의 건강을 지킨다’란 명분을 내세우지만 실상은 자국 산업 보호에 적극적”이라며 “특히 잠재력이 큰 분야에서는 시장을 호락호락 개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다 거대한 중국 내수시장을 바라보고 뛰어드는 세계 유수 기업들과의 경쟁도 쉽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종합해 보자면 중국의 인구 변화는 우리 산업계에 엄청난 기회를 가져올 수 있지만, 김칫국부터 먼저 마시지는 말아야 한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중국은 청나라 후기의 인구 팽창으로 엄청난 곤경에 빠졌던 경험이 있다. 중국인들은 얼마 전까지도 인구 압력을 항상 염두에 두고 살아왔다.
또 무조건적인 낙관주의보다는 일부러라도 비판적인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이 국내 기업의 성공에는 더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도 든다. 어쨌든 내수 침체 극복을 위해 바깥으로 눈을 돌리는 우리 기업들의 건투를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