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정 경제부 차장
한국은 개발연대를 거치면서 자식이 부모보다 잘사는 걸 당연하게 여겼다. 부모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이기도 했지만 성공적인 산업화 과정에서 소득과 기회의 배분이 비교적 원활하게 이뤄져 왔기 때문이다.
필자가 사회생활을 시작한 1990년대까지도 그랬다. 당시 양질의 일자리는 530여만 개인 반면 대졸 노동력은 500만 명이 채 안됐다. ‘삼성 고시’ 같은 건 없었다. 대학 학과사무실에서 추천서를 받아 취직하던 때였다.
대학 졸업장만으로 계층 상승은커녕 ‘계층 사수’도 어렵다면 부모가 자본을 물려주면 될 일이다. 하지만 이 시대 대부분의 부모는 그럴 만한 돈이 없다. 한국의 저축률은 4%대에 불과하다. 세계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중산층 자체가 쪼그라들고 있는 데다 계층상승 비용이 예전보다 크게 늘었다. 아무나 자식들을 로스쿨에 보낼 수 있는 건 아니다.
저성장은 자식 세대가 부모보다 못살 가능성을 잉태하고 있다. 한국이 이런 시대를 맞은 건 처음이다. 조금 더 솔직해지자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 노사정 대타협을 추진하는 건 청년들에게 부모보다 더 큰 성장의 세례를 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부모의 파이를 나눠주자는 것이다. 다 같이 더 잘살자는 게 아니라 부모와 자식 세대가 합의해 조금 더 못사는 미래의 불편함을 서로 분담하자는 묵계를 담고 있다.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 개혁 논의 결과가 잘못된 건 세대 간에 짐을 나누는 게 아니라 후세대에 부담을 떠넘기는 식이기 때문이다.
부모보다 자식세대가 더 못살 가능성이 농후하다면 두 세대가 서로를 대하는 방식도 바뀌어야 할 것 같다. 아버지가 갖고 있는 얼마 안 되는 자원을 자식 학원비와 대학 졸업장 따는 데 다 써버리는 건 세대와 사회의 물적 진보가 보장됐던 저성장 이전의 방식이다. 자식세대의 짐을 덜어주면서 그들에게 부담이 되지 않으려면 좀 더 냉정해져야 한다. 사양 산업이나 레드오션에 있는 기업이 살아남으려면 익숙한 과거와 결별하고 다양하고 창의적인 생존 방법을 찾아야 하듯 말이다. 개인도 마찬가지다. 어쩌면 그게 우리 경제 전체를 위해서도 더 나은 길일 수 있다.
고기정 경제부 차장 ko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