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新중산층 기준] 상류-빈곤층 상당수 “나는 중산층”… 선거때마다 선심성 공약 등장
“전문가는 중산층이란 말을 좋아한다. 정치인은 중산층의 가치를 찬양한다. 구글에 따르면 중산층을 칭하는 말로 ‘나라의 중추(backbone of the country)’란 표현은 2013년 현재 230만 번 쓰였을 정도다.”
미국 신문 USA투데이는 정치인의 중산층 사랑을 위와 같이 표현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대선공약으로 내걸었던 것이 ‘중산층 70%’였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신년연설 때마다 “중산층을 보호하겠다”고 외친다. 그렇다면 정치인들은 왜 중산층 표심 공략에 집중할까.
미국 월스트리트저널과 NBC뉴스가 올해 5월 1000명에게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미국도 한국 못지않게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중산층 붕괴라는 말이 수도 없이 나왔지만 결과는 달랐다. 41%는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했고, 17%는 상위중산층(upper-middle class), 29%는 노동자층(working class)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스스로 빈곤층 또는 하위층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9%에 불과했다. 1998년과 비슷한 수치로 중산층 폭이 넓게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중산층이란 것은 일종의 태도이기 때문에 경제상황이 변한다고 해도 인식이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이라고 진단했다.
USA투데이는 이 때문에 “‘우리는 중산층을 보호한다’는 정치 슬로건은 유권자 상당수에게 자신과 상관있다는 인식을 주게 된다”고 해석했다.
노지현 기자 isityou@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