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이승재 기자의 무비홀릭]김혜수는 스스로 존재한다

입력 | 2015-05-14 03:00:00


‘차이나타운’의 한 장면.

2010년 1월 김혜수가 유해진과의 열애 사실을 공식으로 인정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놀랄 노 자’란 반응이었다. 일단 글래머 스타 여배우가 ‘구질구질한’ 이미지로 알려진 남자배우와 연애를 한다는 사실 자체가 단군 이래 최대 충격이었다. 유해진의 깔끔 떠는 성격과 예술에 대한 각별한 취향, 심미안 등을 익히 알고 있던 충무로 사람들로서는 충분히 가능한 두 사람의 교제였지만, 일반 대중으로선 ‘미녀와 야수’의 조합으로밖엔 볼 수 없었을 것이다.

많은 이가 열애 사실 인정으로 유해진의 가치는 올라가고 김혜수는 이미지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했다. 유해진에 대해서는 ‘도대체 어떤 내면과 기술을 가진 자이기에 최고 여배우의 낙점을 받았을까’란 궁금증이 증폭되겠지만, 김혜수에 대해선 ‘키도 훤칠하고 잘생기고 재벌 친척뻘이면서 왁스로 앞머리 얍삽하게 세우고 다니는 외국계 회사의 스타 비즈니스맨과 연애할 것 같은 미녀 스타’라는, 그녀에 대해 대중이 품어 온 판타지가 깨짐으로써 스타성이 실추되리라 내다본 것이다.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김혜수와 유해진은 시쳇말로 둘 다 ‘남는 장사’를 하는 결과로 귀결됐다. 특히 김혜수에 대해서는 돈이나 외모보다는 남자의 정신세계와 영혼과 취향을 중시하는 남다른 예술가라는 평가가 따라붙기 시작했다. 나는 사실 그때부터 김혜수가 ‘여배우가 아닌 배우’이며 ‘배우가 아닌 예술가’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최근 개봉된 영화 ‘차이나타운’을 보고 나는 그녀가 진정한 예술가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닥터 봉’의 앙증맞은 이미지, ‘타짜’의 뇌쇄적인 이미지 등 그간 쌓아 온 절대적 캐릭터를 완전하게 배신하고 극복한 그녀는 기미투성이 비호감 얼굴에다 배불뚝이의 조폭 여두목으로 등장해 매번 배달된 중국음식을 탐욕스럽게 먹고는 고량주로 입가심을 해 댄다. 삽으로 개를 쳐 죽이는가 하면 회칼로 상대의 목을 싹둑 끊으면서 “우비 챙겨. 피 튄다” 같은 대사를 서슬 퍼렇게 뱉어 내는 그녀는 참으로 이상하게도 그녀가 조직에서 불리는 ‘엄마’란 이름처럼 묘한 모성애와 연민을 동시에 뿜어내는 것이다. 아마도 그녀보다 세 살 어린 전도연도 이렇게 입체적인 연기를 하긴 어려울 것이며, 그녀보다 여덟 살 많은 이혜영이라면 이런 비슷한 분위기를 낼 수 있었겠지만 이렇듯 대중을 충격과 공포에 빠뜨리진 못했을 것이다. 손예진이 2008년 영화 ‘무방비도시’에서 국제 소매치기 조직 ‘삼성파’의 여두목 역할을 한다면서 섹시한 눈빛에다 섬섬옥수로 커터 칼을 부자연스럽게 놀리며 남의 핸드백을 ‘따던’ 그 어색한 모습과는 달라도 한참 다른 것이다.

그렇다. 김혜수는 김혜수다. 솔직히 말해 그녀는 내 스타일은 아니지만(물론 김혜수도 내가 자신의 스타일은 영 아닐 것이다), 김혜수는 그 어떤 여배우도 떠오르게 만들지 않는 오로지 그 스스로 존재하는 배우인 것이다. 이 영화에서 특히 눈여겨볼 대목은, 김혜수가 보스 역할을 하는 데 있어서 목소리를 낮고 거칠게 변조하려고 전혀 노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 이대 나온 여자야”(‘타짜’)에나 어울릴 법한 맑고 은방울처럼 딸랑거리는 그녀의 목소리가 보스에는 영 맞지 않을 법도 하지만, 그녀는 두목인 척하기보단 자신의 내면을 두목으로 만들어 버리는 기가 막힌 몰입을 통해 목소리의 단점을 극복해 나간다. 영화 속 그녀는 하나의 캐릭터가 아니라 왠지 모르게 비극적, 신화적, 원형적인 인물로만 느껴진다. 그녀의 모든 대사는 비현실적이지만 예외 없이 시적이고 절실하다.

‘차이나타운’을 본 세상의 엄마들은 깜짝 놀란다. 이 영화는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2011) 이후 최고의 모성애 영화로 나는 평가한다. 결혼을 한 적도 없고, 더더군다나 아이를 낳아 본 적도 없는 김혜수가 어쩌면 이렇게 엄마들이 공감할 만한 놀라운 모성을 야수들의 피비린내 나는 살육 장면의 한가운데서 그리도 역설적이고 절실하게 표현할 수 있을까 하고 말이다. 내 몸이 자식에게 잡아먹혀 살점이 뜯기는 순간 오히려 내 자식이 험한 이 세상에서 비로소 스스로 살아갈 수 있는 강한 존재가 되었음에 기뻐하는, 세상 모든 엄마들의 이 비릿한 모성을 김혜수는 어찌도 이리 잘 표현한단 말인가 말이다. 그녀가 죽어 가면서 딸 같은 부하(김고은)에게 남기는 마지막 대사 “죽지 마. 죽을 때까지. 이제는 네가 결정하는 거야”는, 그래서 죽어 가는 모든 엄마가 자식에게 남기고픈 말인 것이다.

김혜수는 섹슈얼리티를 버리고 모성을 택했다. 그녀에게는 많은 예쁜 여배우들처럼 영화로 떠서 CF 실컷 ‘따먹는’ 것보단 자신을 부정하면서 새로운 예술적 비전을 추구하는 일이 더욱 중요해 보이는 것이다. ‘차이나타운’의 거의 열배 가까운 관객을 국내에서 쓸어 모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어벤져스’의 슈퍼 영웅들은 늘 개떼같이 몰려다님으로써 간신히 지구를 구했지만, 김혜수는 혈혈단신으로 여배우 기근에 빠진 한국영화를 구했다. 정말 김혜수는 스스로 존재하는 것만 같다.

이승재 기자 sjd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