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日 ‘판박이 탄광 판이한 태도’
하지만 두 시설의 역사적 잘못을 공개하는 과정은 판이하다. 독일은 이 탄광이 강제노역에 쓰였음을 감춘 적이 없다. 오히려 이런 부끄러운 사실을 적극 공개하고 정부 차원에서 추모시설을 건립하는 등 반성과 사죄 노력을 기울였다. 이 때문에 2001년 세계유산 신청 당시 위원국들의 반발이 없었다. 표결을 할 필요조차 없이 만장일치로 등재됐다. 이 시설은 건축물로서의 가치도 온전히 평가받았다. 세계문화유산을 관리하는 유네스코는 홈페이지에서 “이 광산은 현대 건축이 표현주의에서 큐비즘, 기능주의로 넘어가는 시기를 보여주는 등 미적 가치가 높다”고 밝히고 있다.
반면 일본은 하시마 등 산업시설이 강제징용에 활용된 사실이 공개될까 봐 등재 신청서에 세계문화유산 지정 시기를 1850∼1910년으로 제한했다. 정부 당국자는 “한반도 침탈과 태평양전쟁 시기에 이 시설이 훨씬 왕성하게 이용됐음에도 1910년까지로 지정 시기를 제한한 건 꼼수”라고 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AZ)도 17일 ‘공포의 섬’ 기사에서 “하시마에서는 최대 5000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1916년 일본 최초로 지어진 고층 건물에 살았다”고 보도했다. 하시마 탄광 운영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1910년 이후였다는 뜻이다.
1998년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에 가입한 북한도 이를 “파렴치한 행위”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2일 “일제가 세계 인민들에게 감행한 범죄 현장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교묘하게 놀아대고 있다”며 “피의 자욱이 역력히 찍혀 있는 죽음의 살인 현장을 비단 보자기로 감싸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 내에서도 ‘부정적 역사를 감추지 말고 밝히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21일 칼럼에서 “일본 정부의 역사인식에 편협함이 느껴진다. 보여주고 싶은 것만 빛을 비추는 방법으로 세계유산을 등록해선 안 된다. 부정적 역사와도 마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아사히신문은 8일 ‘세계유산, 복안(複眼)으로 역사를 보는 기회로’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역사를 무시하고 1910년 이후의 일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부자연스럽다”고 지적했다.
조숭호 기자 shcho@donga.com / 도쿄=박형준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