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평굴기 꿈꿔 온 중국… 아시아 귀환 추진해 온 미국 뉴 실크로드와 TPP 만남은 21세기 亞평화-번영 추구할 새틀 두 강대국 사이 한국의 선택 ‘경제는 中, 안보는 美’ 아닌 전략적 가교가 되는 것이다
최병일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
AIIB의 출범은 중국과 중앙아시아-서남아시아-중동-유럽을 육로와 해로로 연결하려는 중국의 야심 찬 일대일로(一帶一路) 청사진의 실현 가능성을 높였다. 효과적인 재정 확보 없이는 도상계획에 불과할 21세기 뉴 실크로드 구상은 AIIB 출범으로 조금 더 구체화되는 느낌이다. 일대일로 청사진 제시, AIIB 출범으로 이어지는 중국의 거침없는 행보를 두고, 이제 ‘중국의 세기’가 시작되고 있다고 흥분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30년간의 고속성장이 끝나가는 중국 경제가 그 성장 과정에서 일구어 낸 산업과 기업들에 새로운 활로를 제공하려는 시도이기 때문에 지켜보자는 신중론은 자칫하면 반중국적인 시각으로 치부될 수 있다.
21세기 초대형 토목공사는 분명 엄청난 건설 수요와 파급효과를 일으킬 것이지만, 뉴 실크로드의 동쪽 끝에 위치한 대한민국에 그 기회가 고스란히 옮겨오지는 않을 것이다. 좌고우면 끝에 AIIB에 가입하긴 했지만, 본격적인 전략적 고민은 이제부터 더 치열해져야 한다. 중국이 주도하는 뉴 실크로드가 한국에 기회의 땅으로 바뀌려면, 중국과의 경제협력이 더 높은 차원으로 심화되어야 하고, 뉴 실크로드가 지나가는 국가들과의 새로운 경제협력 전략이 모색되어야 한다. 그 전략의 핵심은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것을 한국이 줄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타결되었지만, 중국의 서비스산업과 투자 개방은 후속 협상을 기다려야 한다. 이 대목에서 한국은 미국을 빌려야 한다. 한국과 중국 간의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이 한중 FTA 발효 후 2년 내 시작된다고 합의한 이유는 현재 진행 중인 미국과 중국 간의 BIT 때문이다. 만약 중국이 미국의 국내적 반대를 극복하고 양국 간의 BIT 협상을 타결한다면, 한국과 중국의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은 수월해질 것이다. 상황이 여기까지 전개된다면, 중국이 미국이 주도하는 TPP 가입으로까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담론의 장에서 만난 중국학자는 중국이 낙후된 서비스산업을 발전시키려면 개방으로 가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TPP에 가입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뉴 실크로드와 TPP의 만남은 아시아로의 귀환을 추진해 온 미국과 화평굴기를 꿈꾸어 온 중국의 전략적 이해가 맞아떨어지는, 21세기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추구하는 새로운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전략적 딜레마에 빠진 한국을 두고 일부에서는 ‘경제는 중국, 안보는 미국’이라는 선택을 주문하지만 한국의 전략적 구상은 그런 단순함을 거부해야 한다. 뉴 실크로드가 TPP와 만날 수 있도록 가교를 건설하는 것이 한국의 미래를 위한 청사진이 아닐까.
최병일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