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 하모 씨(29)는 이달 초 친구 7명과 함께 헌혈하기로 한 일정을 미루기로 했다. 하 씨는 2009년 교통사고를 당한 친구를 위해 헌혈을 한 뒤 석 달에 한 번 꼴로 꾸준히 헌혈을 해왔다. 하 씨는 “젊은 사람도 위험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 마당에 굳이 무리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며 “메르스 사태가 진정이 되면 헌혈을 계속할 생각이다”고 말했다.
메르스 사태 여파로 대한적십자사가 고민에 빠졌다. 하 씨처럼 메르스에 감염될지 모른다는 걱정에 헌혈 예약을 취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적십자사가 특히 우려하고 있는 문제는 단체 헌혈자의 급격한 감소다. 대한적십자에 따르면 3~9일 헌혈 예약을 취소한 단체는 고등학교 29곳, 군부대 10곳 등 모두 51개소다. 통상 전체 헌혈자 중에 33%가 단체로 참가하는 이들이다.
특히 메르스 확산의 거점지역인 수도권 일대에서 헌혈 취소 사례가 줄 잇고 있다.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등 경기 31개 지역에 혈액공급을 담당하는 경기혈액원의 경우 헌혈자 수가 지난해 6월 초에 비해 70%대로 떨어졌다. 유성렬 경기혈액원장은 “지난해 일일 평균 헌혈자 수가 640명은 됐는데 최근 4일간 400~500명 선에 그치고 있다”며 “혈액 수급양보다 출고량이 두 배가 된 상황이라 모두들 긴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헌혈자 수를 늘리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큰 효과를 거두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 원장은 “헌혈한 경험이 있는 분들께 헌혈 촉구 메시지를 보내고 대학교 등에 차를 보내 참여를 독려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성호 hsh0330@donga.com·김재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