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충칭 시 량장 신구 국가경제개발구에서 열린 베이징현대자동차 충칭 5공장 착공식에서 참석자들이 레이저볼을 터치하자 ‘카이궁(開工)’이라는 글자가 나타나고 있다. 왼쪽부터 쉬허이 베이징현대 동사장(이사장), 김장수 주중대사,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 쑨정차이 충칭 시 서기, 황치판 충칭시장, 장궁 베이징 시 부시장.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차와 베이징자동차(北京汽車)의 합작사인 베이징현대자동차는 이날 오전 이곳에서 연간 3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 착공식을 열었다. 올해 4월 허베이(河北) 성 창저우(滄州)에 4공장을 착공한 데 이어 중서부 거점 도시인 충칭에도 생산 거점을 마련한 것이다. 이번 충칭 공장이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생산을 시작하면 현대·기아차는 중국에서 모두 270만 대를 생산할 수 있어 중국 내 ‘빅3’의 자리를 더욱 굳힐 것으로 전망된다.
충칭 공장은 200만 m²의 땅에 프레스와 차체 도장 의장 엔진공장이 27만4000m² 규모로 건립된다. 이미 확보한 부지에 비해 이번 공장 규모는 크지 않아 앞으로 중서부 지역의 자동차 판매가 늘면 공장 증설이 가능하다고 현대차그룹 측은 설명했다.
정 부회장은 “충칭 공장 건설로 서부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한 현대차는 중국의 동부와 서부를 아우르는 명실상부한 전국 규모의 자동차 업체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 현대차의 성장동력인 충칭
충칭 시는 한국의 83%에 이르는 면적(8만2000km²)에 인구가 3000만 명에 이르는 세계 최대 규모의 도시이자 중국 중서부의 유일한 직할시다.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국가개발 전략인 ‘창장(長江) 경제벨트’의 주요 도시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지역은 베이징과 상하이(上海)를 중심으로 한 동부 연안에 비해 자동차가 많이 보급되지 않았다. 자동차등록대수 기준으로 충칭의 연간 신차 판매량은 47만2680대에 불과해 광둥(廣東) 성 등 동부지역의 3분의 1 수준이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창장 지역의 경제개발이 본격화되면 이 지역의 자동차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관계자는 “충칭 공장이 완공되면 ‘현대차가 중서부에서도 생산된다’는 점이 이 지역 소비자들에게 크게 호소력을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 공장에서 현지화된 스포츠유틸리티(SUV) 차량을 전략적으로 생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자동차 수요는 매년 8% 이상씩 성장해 2020년 승용차 수요가 2600만 대를 넘을 것으로 전망돼 글로벌 업체들이 사활을 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중국 시장 1위 업체인 폴크스바겐은 2018년까지 500만 대, 2위인 GM도 2017년까지 연간 290만 대까지 생산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중국은 완성차 관세가 22.5%로 높아 중국 내 생산이 필수다.
올해 들어 중국 로컬 업체들이 급성장하면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 승용차연석회의에 따르면 중국의 승용 세단 수요는 올해 1∼5월에 3.8% 감소한 데 비해 저가형 SUV 시장은 112% 늘어나면서 글로벌 합자회사들이 상대적으로 고전하고 있다.
현대차 측은 “중국 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중국 전략 차종을 다양화하면서 고객 밀착 관리를 체계화해 친환경차 시장에도 본격 진출하겠다”고 밝혔다.
충칭=구자룡 특파원 bonhong@donga.com / 정세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