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더미 위의 그리스가 5일 채권단의 협상안에 대한 국민투표에서 ‘반대’를 선택했다. 그리스 국민은 예상 밖의 개표 결과가 나오자 광장으로 몰려나와 환호했지만 이 나라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은 유로존 국가들이다. 이들은 7일 긴급 정상회담을 열어 3차 구제금융 지원을 거부하고 그렉시트(Grexit·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로 떠밀지, 아니면 새 협상안을 놓고 타협할지를 논의한다. 그리스 국민은 벼랑 끝에 섰다.
그리스가 허리띠 졸라매기를 거부하는 ‘간 큰’ 채무자가 된 것은 400년간의 오스만튀르크 지배에서 1821년 독립한 뒤 절반을 디폴트(채무 불이행) 상태로 보낸 역사와 무관치 않다. 이로 인해 국제사회가 어떻게든 해주겠지 하는 국민정서가 퍼져 있다. 그리스가 디폴트 되면 국제 채권단도 약 1조 유로의 손실을 보게 된다. 채권단이 손 놓고 있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그리스 국민은 1월 총선에서 ‘유로존 잔류, 긴축안 반대’를 내건 급진좌파연합에 승리를 안겨줬고, 이번엔 무책임한 정치인들이 내민 ‘자살유서’에 서명한 셈이다.
폴 크루그먼 등 일부 경제학자들은 2010년 이후 구제금융 대가로 강력한 긴축프로그램을 실행해온 그리스가 경제위기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것은 지나친 긴축으로 경제 자체가 붕괴됐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러나 분에 안 맞는 소비, 세입을 능가하는 세출을 계속하는 태도로는 경제를 살릴 수 없다. 1981년 사회당이 집권하면서 퍼주기식 복지를 시작했고 국민은 당근에 맛을 들였다. 2001년 유로화 가입은 이를 더욱 부채질했다. 생산성과 무관하게 서유럽처럼 임금을 2배 이상, 최저임금을 70%가량 올리면서 부채비율이 급격히 늘었고 결국 빚을 갚지 못하는 처지에 이르렀다. 한마디로 선진국이 됐다는 착시 현상에 빠져 흥청망청한 대가를 치르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