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택동 정치부 차장
그런데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와 관련된 여권의 갈등에서는 중재자가 보이지 않는다.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촉구한 박근혜 대통령과 친박(친박근혜)계, 명분 없이 물러서지는 않겠다는 유 원내대표와 측근들 간 다툼이 ‘여권의 내전(內戰)’으로 비화했는데도 실효성 있는 중재안을 내놓는 사람이 없었다.
중재자가 되려면 양측이 받아들일 만한 권위와 현실적 해결책을 갖고 있어야 한다. 또 갈등의 중심에서 비켜서 있어야 가능하다.
그러나 이번에는 구도가 달라졌다. 초반에는 김 대표가 중재를 시도했지만 6월 25일 국무회의에서 박 대통령이 직접 유 원내대표를 겨냥한 강한 발언을 내놓으면서 김 대표가 움직일 공간이 좁아졌다. 경우에 따라서는 김 대표 본인의 정치적 입지마저 흔들릴 수 있는 상황에 몰리면서 김 대표도 중재자가 아닌 당사자 중 한 명이 됐다. 이처럼 대통령과 여당이 충돌한 이상 중재 역할을 맡을 사람이 마땅치 않은 게 여권의 현실이다.
여당의 ‘어른’으로는 김영삼 이명박 전 대통령,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 김종필 전 국무총리, 이만섭 김형오 전 국회의장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현실 정치에서 멀어져 있거나 박 대통령 또는 당과 이런저런 인연이 얽혀 있어 중재에 나서기가 쉽지 않다. 이는 여권의 위기관리에 구조적 취약점이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당청 간에 갈등이 벌어지지 않도록 충분히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이번 사태의 본질을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당청 간의 이견보다는 박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 간의 소통 부족에 따른 불만이 누적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유 원내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은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가 한 번이라도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더라면 지금 같은 일은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라며 아쉬워했다.
장택동 정치부 차장 will7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