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1년 4개월동안 개점휴업
8일 미래부와 희망재단 관계자들에 따르면 희망재단은 지난해 2월 출범 이후 일부 교육사업을 제외하고는 중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하지 않고 있다. 출범과 동시에 소상공인연합회가 회장 선출 문제로 갈등을 빚은 결과다.
희망재단은 지난해 2월 중소상공인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네이버와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연합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공익 법인이다. 네이버가 재단 설립과 활동을 위해 500억 원을 출연하기로 약속했다. 이 가운데 100억 원은 이미 지난해 지급했다. 재단 운영은 이사회를 중심으로 이뤄질 예정이었다. 실무는 11개 분과위원회와 산하 소위원회에서 맡도록 했다. 초대 이사장으로 김기문 전 중기중앙회장이 위촉됐다.
이렇다 보니 어려운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 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지난해 네이버가 지급한 100억 원도 지금까지 50억 원 정도가 그대로 남아 있다.
희망재단 일부 인사의 모럴해저드가 심각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재단 관계자는 “이사들과 분과위원회 위원들이 회의 수당을 회당 30만∼50만 원씩 챙겨가고 있다”며 “심지어 어떤 위원은 자신의 자녀를 재단에 취직시키기도 했다”고 털어놨다. 재단 일에 관여했다가 사퇴한 또 다른 관계자는 “대기업 총수들이 참여하는 동반성장위원회 회의 수당도 이보다 높지 않다”면서 “소상공인을 돕겠다는 허울 좋은 명분만 앞세우고 결국 자기들 배만 불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희망재단의 개점 휴업 상태가 길어지자 지도감독 권한을 가진 미래부는 지난달 초 각종 잡음과 의혹에 대한 사실관계 파악에 착수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정식 감사는 아니며, 사실관계를 파악해 문제점이 드러날 경우 감사를 실시하는 등 법에 따른 권한을 행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래부가 나서자 김 이사장은 지난달 15일 긴급 이사회를 열고 돌연 사퇴를 선언했다. 김 이사장은 “회사(로만손) 일이 너무 바빠져서 이사장직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됐다”고 사퇴 배경을 설명했다.
김기용 기자 k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