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국정원 간부 출신 영입 “끝까지 추적”, 與 “국가 안위 문제… 정쟁 대상 아니다” 국정원 “사용 기록 모두 공개하겠다”
여야가 국가정보원의 해킹 프로그램 의혹을 두고 정면 충돌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진상조사위원장인 안철수 의원은 17일 진상조사위 명칭을 ‘국민정보 지키기 위원회’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국민의 삶에 보탬이 되는 싸움을 해보겠다”고 설명했다. 진상조사위는 이날 서울 영등포구 당사에 ‘휴대전화 해킹 검증센터’를 개설했다.
안 의원은 진상 조사에 참여할 위원에 정태명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교수, 임을규 한양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김병기 전 국정원 인사처장 등 5명의 외부 인사를 임명했다. 김 전 처장 임명과 관련해 김성수 대변인은 “국정원 불법 사찰 의혹 관련자들의 부서와 책임라인까지 최단기간에 추적해 대처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밝혔다. 김 전 처장은 문재인 대표가 직접 안 의원에게 추천했다고 한다.
국정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구입한 해킹 프로그램이 20명분이란 것은 최대 20개의 휴대전화를 해킹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이런 역량으로 무슨 민간인 사찰이 가능하겠느냐”고 항간의 의혹을 부인했다. 또 “사용 기록은 모두 저장돼 있고 기밀(사항)이지만 최근의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비상조치로 (국회 정보위원들에게) 보여드릴 예정”이라며 “이 내용을 보면 국정원이 민간사찰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명백해진다”고 주장했다.
한상준 alwaysj@donga.com·홍수영 기자